서울경제

HOME  >  부동산  >  아파트·주택

집값 뛰자 전세가율도 양극화…서초 37% vs 금천 61%[집슐랭]

부동산R114 전국 시·도 아파트 전세가율 분석
서울 평균 45.2%, 전국 평균 55.2%와 격차
"매매 가격 급등, 갭투자 본인 자금 있어야 가능"

  • 박경훈 기자
  • 2025-06-24 07:00:24
  • 아파트·주택
집값 뛰자 전세가율도 양극화…서초 37% vs 금천 61%[집슐랭]
22일 경기도 성남시 청계산 매바위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모습. 연합뉴스

최근 서울 집값의 급등세를 주도하고 있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의 아파트 전세가율(매매 가격 대비 전세 가격 비율)이 나란히 30%대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 가격이 급격히 오르면서 전세값과의 차이가 벌어졌기 때문이다.


2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25개 자치구 중 전세가율이 가장 낮은 곳은 37.1%를 기록한 서초구로 집계됐다. 이어 △송파구(38.4%) △강남구(39.1%) △용산구(40.9%) 순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에 시세가 등록된 100가구 이상 규모의 전국 아파트 1006만 가구의 평균 시세를 분석한 결과다.


서울에서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금천구로 60.9%를 기록했다. 또 △성북구·중랑구(59.5%) △강북구(58.3%) △관악구(57.8%) 순이었다.


서울 평균 전세가율은 45.2%로 집계됐다. 서울의 전세가율은 2017년 초 70%대였으나 이후 집값 상승과 함께 하락하면서 2018년 5월 50%대를 기록했고 이후 40~50% 선에서 오르내렸다. 그러다 지난달 들어 서울 평균과 강남 3구·용산구의 전세가율은 부동산R114가 자료를 집계한 2017년 1월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 전세가율은 55.2%로 서울과 큰 차이가 나타났다. 전국 주요 시·도중 서울보다 전세가율이 낮은 곳은 39.1%의 세종시가 유일했다. 가장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은 △충청북도 76.9% △전라북도 76.8% △경상북도 76.2% △경상남도 75% 순이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서울의 전세가율 하락은 전세값으로 나타나는 사용 가치가 매매 가격의 투자 가치를 못 따라간다는 의미"라며 "서울 아파트 시장은 매매 가격 급등으로 전세의 레버리지(갭투자) 기능이 약화해 이제 갭투자도 본인 자금이 있어야 가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집값 뛰자 전세가율도 양극화…서초 37% vs 금천 61%[집슐랭]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