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韓 종교가 티베트 불교?…몽골 교과서 곳곳서 오류 발견

이용선 의원, 재외공관 대응 부실 질타
한중연 시정 요청에 회신율 50~60% 그쳐
"외교부·재외공관 책임감 갖고 시정해야"

  • 진동영 기자
  • 2025-11-02 10:45:02
  • 국회·정당·정책
韓 종교가 티베트 불교?…몽골 교과서 곳곳서 오류 발견
이용선 더불어민주당 의원.

한국이 기원전 4~6세기 번성했던 돌궐 제국의 영토였다는 잘못된 정보가 몽골 교과서에 실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밖에 동해를 일본어로 표기하거나 한국의 종교를 티베트 불교라고 적는 등 심각한 오류가 곳곳에서 확인되는데도 재외공관이 안일하게 대처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이용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일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2024년 한국학중앙연구원(한중연)의 요청에 대한 재외공관 회신율은 50~60%대에 그쳤다. 2021년 50.7%에서 지난해 66.7%로 매년 개선되는 흐름을 보이고는 있지만 일부 공관은 감사원 지적에도 묵묵부답으로 방치하다 국회 국정감사를 앞두고 조치에 나서는 등 늑장 대응을 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한중연이 몽골 재외공관에 전달한 몽골 교과서의 오류 사례를 보면 해외 교과서에서 한국을 잘못된 정보로 다루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몽골은 한국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 나라임에도 교과서에서 한국사를 심각하게 왜곡하거나 사실과 다른 내용이 다수 발견됐다.


돌궐제국 영토에 한국이 포함돼 있다거나 조선, 베트남 등이 청나라에 조공을 바치는 속국으로 존재했다는 표현 등이다. 칭기즈칸 시대인 1218년에 고려가 몽골국에 종속됐다는 잘못된 내용도 있었다.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고 문해율을 ‘문맹률’로 표기하기도 했다. 한국의 종교에 대해 불교-마하야나, 티베트 불교, 한국의 토착신앙인을 믿는다고 잘못 적은 내용도 발견됐다.


주몽골대사관은 몽골 교육 당국과 접촉하면서 시정을 요구하는 등 지속적으로 협의 중이지만 실제 시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몽골 측의 교과서 개정 계획이 불투명하고 양국 간 역사 인식 등에서도 차이가 있는 등 민감한 사안이 얽혀 있어서다.


한편 감사원은 지난 3월 발표한 감사보고서에서 2021~2023년 한중연의 협조 요청에 대해 미회신한 21개 공관 명단을 공개하는 등 적극 대처를 요구하고 있다. 이 의원실이 9월 후속 조치를 확인한 결과 아르메니아(주러시아대사관 겸임국), 콩고, 프랑스, 피지 등 4개 공관은 감사원 지적 이후에도 무대응으로 일관하다가 뒤늦게 한중연에 회신 의사를 밝혔다.


이 의원은 “몽골 사례처럼 해외 교과서 내 한국과 관련한 명백한 오류가 발견됐음에도 재외공관이 이를 외면하고 방치하는 건 심각한 문제”라며 “외교부와 재외공관에서 적극적인 의지와 책임감을 갖고 시정 작업을 이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