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4일 유가증권시장에서 현대차는 전일 대비 2.58% 오른 11만 9,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장중에는 12만 3,000원까지 상승하며 12만원 선을 넘기기도 했다. 전 거래일에 이어 이틀 연속 2% 넘게 오르며 새해에도 이어진 증시 조정국면에서 나홀로 돋보이는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12월부터 비교하면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가 4.1% 하락하는 가운데 현대차는 11.7% 오르면서 시장을 압도하는 성과를 보이고 있다. 현대차 외에도 그룹주인 현대모비스(012330)(10.5%), 현대글로비스(086280)(11.7%), 기아차(000270)(14.3%) 등도 이 기간 두자릿수 상승세를 보였다.
미국 시장 판매량 호조가 연초 현대차 주가 상승에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기아차의 지난해 12월 미국 판매량은 전년 대비 6.1% 증가한 11만 3,149대를 기록했다. 미국 시장 점유율도 같은 기간 0.3% 포인트 증가한 7%로 올랐다. 연말 뒷심을 발휘하며 판매 부진 우려를 해소한 것이다. 이한준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기아차의 작년 판매에서 긍정적 부분은 미국 판매량이 양호했다는 점”이라며 “기저 효과가 작용하지만 두 기업 모두 스포츠유틸리티(SUV) 라인업 확대에 따른 호조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
미국 판매량 호조로 올해 실적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는 상황이다. 금융투자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해 매출액 100조 7,377억원, 영업이익 3조 9,27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작년 실적 컨센서스보다 각각 3.5%, 38.4% 오른 것이다. 김진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판매 부진과 큰 폭 인적 개편에 따른 각종 비용 증가로 작년 4·4분기까지 실적은 컨센서스를 밑돌 수 있다”면서도 “본격 반등이 올해 1·4분기부터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증권가의 현대차 올해 1·4분기 실적 전망치는 매출액 23조 1,558억원, 영업이익 9,2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 35%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가 강점을 지니고 있는 수소차 기술 투자도 주가 상승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포인트다. 조수홍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글로벌 자동차 산업은 수요 정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전기차, 수소차 등 새로운 자동차 기술을 중심으로 시장 성장세가 차별화 될 것”이라며 “특히 수소차의 경우 생태계 조성이 시장 발전을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는 지난해 10월 글로벌 에너지기업인 엔지, 에어리퀴드 등과 수소전기차 및 수소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한 제휴를 맺는 등 관련 기술 시장 정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엔화 강세로 일본 경쟁업체들의 수출이 불리해진 점도 현대차 실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달러 당 110엔대에 머물던 엔·달러 환율은 새해 106엔 수준까지 하락한 상황이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으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와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대일 통상 압박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엔화 강세 현상은 향후 더 세질 수 있다는 것이 시장 전문가들의 평가다. 이재일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진행될 미국 일본 무역협상은 일본 완성차와 직접적인 경쟁 관계에 있는 국내 완성차 업체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엔화 강세 등 호재로 지금은 국내 자동차 업종에 대한 비중을 확대해야 할 때”라고 설명했다.
/이경운기자 cloud@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