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삼성·SK·롯데·LG 등 이른바 5대 그룹의 토지자산 총액이 지난 10년간 장부가액 기준으로 2.8배 증가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동숭동 경실련 강당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재벌 기업들이 본연의 주력사업을 외면하고 부동산 투기에 몰두해 10년간 부동산 거품을 키웠다”고 비판했다.
경실련이 이날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5대 그룹이 보유한 토지자산은 금융감독원 공시 기준으로 총 67.5조원으로 2007년 24조원에서 43조6,000억원, 약 2.8배 증가했다. 2017년 말 기준 토지자산이 가장 많은 그룹은 현대차(24조7,000억원)였으며, 그 뒤를 삼성(16조2,000억원), SK(10조2,200억원), 롯데(10조1,900억원), LG(6조3,000억원)가 이었다. 2007년 대비 토지자산이 가장 많이 증가한 그룹도 현대차가 19조4,000억원으로 1위였고, 다음이 삼성 8조4,000억원, SK 7조1,000억원, LG 4조8,000억원, 롯데 4조원 순이었다. 이들 그룹을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현대자동차 10조6,000억원, 삼성전자 7조8,000억원, 기아자동차 4조7,000억원, 호텔롯데 4조4,000억원, 현대모비스 3조5,000억원 순으로 증가해 5위 내에 현대차그룹 계열사가 3곳이나 됐다.
경실련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세청에 등록된 상위 10개 기업이 보유한 토지자산의 공시지가 총액은 385조원으로, 2007년 102조원에 비해 3.8배가량 늘어났다. 그러나 이들 기업이 실제 공시한 토지자산 규모는 42조원으로, 공시지가의 10%대에 불과했다. 경실련은 “국세청 자료에는 상위 10개 기업의 상호는 나와 있지 않으나 5대 재벌 계열사가 다수 포함된 것으로 추정한다”며 “이는 공시를 근거로 재무상태를 파악하는 주주와 투자자들의 판단을 흐리게 만들고 투명경영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으므로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아울러 이날 발표한 자료에 대해 “지난 10년간 재벌 기업들이 땅 사재기를 통해 몸집 불리기에 주력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토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불로소득, 분양·임대수익 등에서 생산 활동보다 더 많은 이윤이 발생하다 보니 부동산 투기에 집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자산 5조원 이상의 공시대상기업집단에 대해서는 보유 부동산의 건별 주소, 면적, 장부가액, 공시지가를 사업보고서에 의무 공시하게끔 공정거래법 등 관련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