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형법에는 같은 사건으로 다시 판결하지 못한다는 일사부재리의 원칙이 있어요. 다시말해 5년 전 사건이 한종구씨의 범행으로 밝혀져도 그 건으로 다시 재판에 설 일은 없다는 뜻입니다.”
tvN 주말드라마 ‘자백’은 2회차 방송만에 숨돌릴 틈 없는 전개로 충성도 높은 시청자들을 끌어당기는데 성공했다. 살인사건→범인 검거→법정다툼→처벌의 ‘법정드라마 공식’에서 벗어났다는 점에서 이를 보는 이들은 다음을 예측할 수 없는 혼란에 빠졌다.
살인사건 피고인의 무죄를 입증했으나 사실 그가 범인이었고, 5년 전과 유사한 살인사건에 또다시 그가 법정에 선다. 죄가 없는 그의 무고함을 증명하기 위해 5년 전 그때 그 살인사건의 범인이 자신이라는 것을 밝히는 ‘복잡하지만 사상 초유의 법정다툼’이 본격적으로 궤도에 올랐다. 일사부재리 원칙, 이에 따르면 5년 전 살인사건을 자백한 그는 ‘처벌받지 않는다.’
작가는 제작발표회 당시만 해도 생소함에 갸우뚱하게 만들었던 ‘일사부재리 원칙’이라는 소재를 법정드라마에 깔끔하게 입혀냈다. 이 사건으로 옷을 벗었지만 끝까지 진실을 추적하는 형사, 과거를 알 수 없는 능력 좋은 변호사, 그리고 그를 보조하는 베일에 싸인 변호사 사무실 사람들. 이들이 엮인 흐름은 기존의 법정드라마를 능가하는 긴장감을 형성했다.
|
유재명은 “담백하고 간결함 속에 묵직한 힘을 지니고 있다”고 작품을 설명했다. 김철규 감독은 “전체적 그림은 한국 사회의 자화상이라고 생각한다. 최고 권력층의 치부와 비리가 영감을 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재명의 설명은 작품의 흐름을, 김 감독의 이야기는 결국 이들이 마주해야 할 상대를 예고한다. 절대악(惡)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준호, 유재명 두 주연배우의 호흡도 아주 잘 맞는다. ‘김과장’과 ‘기름진 멜로’를 통해 유쾌한 매력을 보였던 이준호는 웃음기 쏙 뺀 얼굴로도 작품을 이끌어갈 수 있음을 증명했다. 같은 방송사인 tvN ‘비밀의 숲’에서 누구도 대체할 수 없는 연기력을 보여준 유재명 또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주연 배우들은 물론 조연 어느 누구도 소위 연기 구멍을 보이지 않는다.
이는 각 캐릭터의 성향과 인물전사가 뚜렷한 덕분이다. 유재명을 제외한 중심인물은 과거 혈육을 잃었고, 이로 인해 각자의 ‘목표’를 지니고 있다. 때문에 같은 길을 걷지만 언제 어디로 튀어나갈지 전혀 알 수가 없다. 여기에 기무사 준위에서 사형수로 전락하고, 10년간 아들의 면회조차 거부한 최필수(최광일)까지 이야기는 궁금증 투성이다.
김 감독은 제작발표회에서 “강렬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매회 반전의 반전이 거듭되는 흥미진진한 미스터리 휴먼드라마”라고 작품을 정의했다. 그의 말처럼 방송 2회만에 ‘자백’은 엔딩장인이라 불릴만큼 파격적인 반전으로 1시간여의 흐름을 뒤집으며 끝을 맺었다.
꺼내야 할 이야기도,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그러나 이같은 흥미진진함이라면 조급해하지 않고 찬찬히 둘러보며, 다시보며 기다려봄직도 하다. 오랜만에 손에 땀을 쥐게 만드는 ‘흥분되는 법정드라마’가 등장했음은 확실하다.
|
/최상진기자 sestar@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