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문화 · 스포츠  >  문화

미혼 남녀 기자가 본 영화 '82년생 김지영'

☞女기자가 만난 김지영
여성차별에 숨죽여온 삶…잔잔한 슬픔 스며들어
☞男기자가 만난 김지영
구조적 문제 안고 사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

미혼 남녀 기자가 본 영화 '82년생 김지영'

조남주 작가의 ‘82년생 김지영’. 2016년 이후 페미니즘을 둘러싼 이슈를 확대·재생산해 내면서 130만 부 이상이 팔려나간 이 소설은 젠더 이슈와 맞물려 시대를 상징하는 하나의 텍스트이자 남녀 간 치열한 공방의 중심에 서 왔다. ‘존재만으로 논란의 대상’이 된 ‘82년생 김지영’이 오는 23일 스크린셀러로 재탄생돼 관객들과 만난다. 편견 없이 작품을 바라보기 위해 주인공의 경험에서 한 발 벗어난 미혼의 여기자와 젠더 이슈에서 비교적 진보적이라고 자부하는 ‘여성학 B+’ 학점의 미혼의 남기자가 함께 영화를 봤다. 과연 영화는 소설처럼 남녀 감수성의 차이를 드러내게 할까.

직장차별…경력단절…육아 우울…

여성으로서 고달팠던 삶 토로

딸 안쓰러운 엄마 감정에 눈물


미혼 남녀 기자가 본 영화 '82년생 김지영'

■미혼 여기자의 시선 - “딸 안쓰러워 하는 엄마 이야기에 눈물 펑펑”

스크린셀러가 원작을 그대로 반영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과감한 삭제와 영화적 상상력을 가미해 새로운 감성과 가치를 담는 창작물이 될 수 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소설의 커다란 줄기만을 따왔다. 1982년 4월 1일생인 주인공 김지영(정유미)은 ‘남아선호사상’이 팽배한 가정에서 자랐다. 직장에선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당했고, 결혼 임신 출산으로 경력이 단절됐다. ‘독박육아’로 우울증을 앓던 그는 급기야 다른 사람으로 ‘빙의’해 여성으로서의 힘들고 고달팠던 삶을 토로하고 때로는 남편 대현(공유)와 가족들에게 호통을 친다.

영화는 딱 여기까지만 소설 ‘82년생 김지영’이다. ‘독박육아’와 일상적인 성희롱 등 여성들을 분노케 한 에피소드들을 과감하게 축약했다. 생생한 에피소드로 감정을 추동하게 한 소설에 비해 영화는 보다 잔잔하고 슬픈 톤으로 관객을 울린다.


육아로 인한 우울증 등에 그다지 공감을 하지 못한 기자의 눈물샘을 자극한 캐릭터는 지영의 엄마 미숙(김미경)이었다. 오빠들을 공부시키기 위해 돈을 벌고, 결혼 후 가족을 돌보느라 자신의 삶은 없었던 미숙은 딸이 자신과 같은 길을 걷지 않기를 바랐던 ‘우리 모두의 엄마’다. 특히 미숙이 아들 지석의 한약을 사온 남편에게 “아픈 지영이 약을 사와야지, 왜 지석이 약이냐”며 약을 내동댕이치고 오열하는 장면에서 관객들은 무너진다. 남녀차별에 숨죽이고 살았던 그가 자신과 다르지 않은 삶을 살아가는 딸의 모습에 안쓰러워 하는 장면이 가슴을 파고든다.

남편 대현은 소설과 달리 지영을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안쓰러워하지만, 지영의 삶을 경험해 보지 못한 그는 ‘따뜻한 제3자’ 이상이 될 수 없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기자가 기혼이라면 ‘저 정도 남편이면 고맙지’라고 생각했을까./연승기자 yeonvic@sedaily.com

육아 지친 지영, 미안해하는 남편

얄미운 시어머니와 직장동료들…

사회적모순에 엉킨 피해자 아닐까


미혼 남녀 기자가 본 영화 '82년생 김지영'

■여성학 B+ 남기자 시선은- “ ‘지영’ 그리고 ‘대현’을 위한 ‘82년생 김지영’”

소설에서 한 발 나아간 결말로 인해 김지영의 어려움은 대현의 문제로 확장된다.

부푼 꿈을 안고 홍보대행사에 입사했지만 결국 집안에 앉아 빨래를 개고 있는 지영과 대현의 가정에 남은 것은 눈치와 미안함이다. 외벌이 남편인 대현은 “다녀오면 책상이 사라진다”는 말에 출산휴가를 낼 결심을 못한 채 지영에게 미안한 마음만 키운다. 지영은 나이 든 친정엄마에게 육아를 맡기기 죄송한 마음이 든다. 어렵게 일할 기회를 우울증 때문에 포기한 뒤로는 재취업 기회를 준 회사 선배, 그리고 자신을 묵묵히 돌봐온 대현에게 미안한 마음이 솟구친다.

지영과 대현이 겪는 어려움은 누구 한 사람을 탓할 수 없는 구조의 문제로 확대된다. 영화에서 지영의 어려움이 해결되는 과정도, 그 뒤에 따라오는 혜택도 82년생 김지영만의 것으로 끝내지 않는다.

영화를 연출한 김도영 감독은 “‘82년생 김지영’을 통해 우리가 어떠한 곳에서 살아왔고, 살고 있고, 앞으로 살아가야 될까. 그런 고민을 나누고 공감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여성으로 살며 겪는 어려움을 넘어 개개인의 선의로는 해결되지 못하는 문제들을 안고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지영’과 ‘대현’에게 잔잔한 위로를 전한다. 미안함을 찾을 수 없는 시어머니와 일부 직장 동료들 역시 공고하게 내려온 제도의 피해자라는 점, 그렇기에 이들 역시 더 나은 삶을 꿈꿀 수 있다는 점까지 보듬었다면 하는 아쉬움은 남는다. /한민구기자 1min9@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