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이낙연 국무총리의 후임으로 국회의장 출신인 정세균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지명하면서 그간 내각을 이끌어온 이 총리에 대한 아쉬움과 감사의 뜻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 총리에 대해 “정부 출범부터 지금까지 국정 개혁의 기반을 마련하고 내각을 잘 이끌어주신 이 총리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책임 총리로서의 역할에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셨고, 현장 중심 행정으로 국민과의 소통에도 부족함이 없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이 총리님이 내각을 떠나는 것이 저로서는 매우 아쉽지만 국민들로부터 폭넓은 신망을 받고 있는 만큼 이제 자신의 정치를 할 수 있도록 놓아드리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 어떤 선택을 하든, 어느 자리에 서든 계속 나라와 국민을 위해 봉사해주시리라 믿는다”며 이 총리에 대한 신임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역대 최장수 총리 등극 이후 교체설 커져
이 총리는 지난 2017년 5월 31일 문재인 정부의 초대 총리이자 제45대 총리로 임기를 시작했다. 지난 10월 28일에는 재임 기간 2년 4개월 27일(881일)을 기록하면서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최장수 총리로 등극했다. 이전 최장수 총리는 이명박 정부의 김황식 전 총리(880일ㆍ2010년 10월 1일~2013년 2월 26일)였다.
게다가 이 총리의 최장수 기록 시점과 문재인 정부 임기 반환점(11월 9일)이 비슷하게 맞물리면서 국정 분위기 쇄신과 내년 총선 등을 위해 총리 교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정치권 안팎에서 쏟아지기 시작했다. 특히 이 총리가 그간 안정적 국정 운영을 통해 보여준 신뢰감과 안정감 등을 바탕으로 차기 대권 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계속 1위를 유지하면서 이 총리가 정치권으로 복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여권 내에서 나왔다.
이 총리 본인 역시 정치권 복귀 의사를 숨기지 않았다. 최장수 총리 재임 기록을 세운 직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거취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눈치 없이 오래 머물러 있는 것도 흉할 것이고, 제멋대로 (처신)해서 사달을 일으키는 것도 총리다운 처신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답한 게 대표적이다.
/정영현기자 yhchung@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