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사회  >  전국

"부산 비탈면 붕괴사고는 일반적인 산사태가 아닌 성토사면 붕괴"

대한토목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 붕괴원인 해석 마쳐

  • 조원진 기자
  • 2020-04-24 10:27:38
  • 전국
지난해 10월 3일 주민 4명이 숨진 부산 사하구 성토 비탈면 붕괴사고는 일반적인 산사태가 아닌 성토사면(인위적 흙쌓기 비탈면) 붕괴인 것으로 드러났다.

붕괴원인 해석 및 보강대책 수립 용역을 맡은 대한토목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는 지난 2월까지 공학적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같이 결론지었다고 24일 밝혔다.

조사 결과 붕괴지는 과거 산림지역이었으나 이를 연변장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석탄재를 매립한 것을 확인했다. 전반적으로 석탄재 매립층과 폐기물 및 슬래그 혼재토사층(매립된 지층에 부피가 큰 석탄재와 토사가 함께 섞인 지층)으로 이뤄졌다. 또 통계적으로 10월 2일 새벽 3시부터 24시간 동안 내린 97㎜의 강우량도 부산 관측소의 2년 빈도 강우량 이하 규모라고 볼 수 있다고도 봤다.


특히 오랜 기간 석탄재의 내부 침식과 옹벽의 배수기능 상실 등에 의한 지하수위 상승, 선행 강우와 당일 강우에 의한 물리적ㆍ역학적 성질의 변화에 따른 전단강도(절개지 및 경사지와 같은 경우 취약한 부분으로 잘려 나가려는 힘이 작용하는데 이에 대해 저항하는 강도) 감소에 의해 한계 상태에 도달한 뒤 흙쌓기 비탈면이 원을 이루며 미끄러져 붕괴가 발생했다고 했다.

석탄재 매립재는 토양오염 우려 기준 이하이고 지하수의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돼 환경적 오염 우려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매립재인 석탄재는 성토 당시와는 달리 현재 특정폐기물로 분류돼 있으므로 해당 전문가 또는 전문기관의 자문을 받아 재처리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복구에 앞서 응급방안으로는 성토사면(흙쌓기 비탈면)을 최대한 완화하고 석탄제 또는 토사 등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표면보호막, 하단부 옹벽 일원에 마대 설치 등이 제시됐다. 보강대책으로는 복구 시 양질 토사로 매립 후 다단 옹벽, 배수로 설치와 연병장에 잔존하는 모든 석탄재를 제거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성토사면 붕괴지 복구가 여러 가지 문제로 시기가 늦춰질 경우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 및 우기에 대한 재난 위험성을 고려, 계류 하부(산골짜기 또는 지하수 및 비 등이 흘러 내려가는 길 중 아랫부분) 주민의 재산과 안전을 위한 예방사업을 우선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올해 11월까지 산지사면(흙쌓기 비탈면), 인공사면(인공 흙쌓기 비탈면) 등을 대상으로 생활권 연접 산지사면 전수조사를 시행하고 산지사면관리등급화 및 유지관리방안을 수립해 정비해 나갈 계획”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