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대한통운(000120)이 ‘도착보장’과 기술집약형 물류일괄대행(풀필먼트) 등 서비스 차별화를 기반으로 올해 3분기 호실적을 기록하며 체질개선을 이뤄냈다. 글로벌 경기 불황으로 국내외 택배 물량이 감소하는 등 사업 환경이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 거둔 호실적이라 눈길을 끈다는 평가가 나온다. 회사 측은 생산성 혁신이 경쟁력 강화와 신규 수주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된 만큼 앞으로도 수익성이 강화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
CJ대한통운은 연결 기준 2023년 3분기 매출 2조 9371억 원, 영업이익 1248억 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매출은 세계 교역량이 줄어든 상황이 이어지면서 전년 동기 대비 5.7% 줄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계약물류(CL) 사업 신규 수주 확대와 이커머스 물류 성장 및 지속적인 원가 효율성 개선 등에 힘입어 15.9% 증가했다. 특히 한국 사업 부문에서 전년 대비 38.2% 증가한 999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사업별로 보면 택배·이커머스 매출은 9010억 원으로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도착보장과 기술집약형 풀필먼트 등 서비스 차별화 기반 고수익 물량 증가, ‘해외직구’ 및 ‘초국경택배’ 물량 확대 등의 요인으로 영업이익은 33.9% 증가한 557억 원을 기록했다.
CL 사업은 운영 효율화에 따른 수익성 향상 및 신규수주 확대, 주요 물자의 항만 물동량 증가 등에 힘입어 전년 비 매출은 2.9% 늘어난 7234억 원, 영업이익은 44% 증가한 442억 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부문은 포워딩 운임 하락의 영향이 지속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모두 줄었다. 건설 부문은 대형 고객 수주 기반 1조 원 이상 수주고를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1.7% 성장한 2585억 원, 영업이익은 25% 성장한 95억 원을 기록했다.
회사 관계자는 “서비스 차별화로 고수익 물량 비중을 늘리면서 수익 구조가 강화됐다”며 “올 초부터 추진해 온 생산성 혁신 프로젝트의 성과로 사업 경쟁력 강화가 신규 수주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됐기 때문에 앞으로도 견조한 이익 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