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치러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는 향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글로벌 환경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글로벌 ESG 공시 대응을 위해 준비해 온 국내 기업의 대응 방안 수립이 중요해진 상황이다.
내년 1월 이후 출범할 미국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아젠다 47’을 기반으로 살펴본 향후 ESG 정책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요인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축소, 파리 협정 재탈퇴, 미국 내 화석 연료 채굴 확대, 자동차 연비 규제 완화 및 전기차 의무 판매 규제 폐지 등이 있다. 그동안 대통령 행정 명령을 통해 추진해 온 미국 증권거래소(SEC) 기후 공시 관련 정책 등의 지속가능성에도 작지 않은 변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이처럼 향후 미국 ESG 기후공시 관련한 정책 환경은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미국과 함께 글로벌 ESG 공시 정책을 이끌고 있는 유럽연합(EU) ESG 공시 정책의 일관성은 미국과 달리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EU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주요 기업들은 당초 계획에 맞게 ESG 공시 준비를 꾸준히 이어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올 8월 국회입법조사처에서 발간한 ‘ESG 제고 관점에서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대응을 위한 정책 과제’ 보고서 내용에 따르면 국내 기업 중 지난해 기준으로 EU 대상 수출 기업은 1만 8043개로 전체 수출 기업 9만 5015개의 19%를 차지(대기업 573개, 중견기업 1221개, 중소기업 1만 6249개)하고 있다. 수출 대기업의 61.5%,중견 기업의 55%가 EU에 수출하고 있는 것이다.
EU에 대한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이 준비해야 할 ESG 공시는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 등 다양하지만, 우선 EU 공급망실사지침(CSDDD)에 대한 준비가 필요해 보인다. 현재 국내 주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서 극히 일부만 ‘공급망 관리’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EU CSRD의 2026년 이후 일정과 CSDDD의 2027년 이후 실사 일정 등을 고려하면 일부 대기업의 경우 공급망 보고서의 사전 발간 준비가 더욱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통상 ESG공급망은 기업이 조달 과정에서 협력사에 인권. 환경 등 비재무적인 영역에 대해 평가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 내부뿐만 아니라 공급망 전반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고객 등 다양한 외부 이해 관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며 공급망 전반의 ESG경영 수준 인지와 효과적으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공급망 보고서 발간에 필요한 공급망 관리는 총 3단계(관리 기반 구축, 실사·관리 이행, 관리 성과 공유), 11개 세부 과정을 거치며 진행된다. ‘고위험군 식별하기’와 ‘개선조치계획(CAP) 도출하기’, ‘공급망 ESG 관리 보고서 작성하기’ 등 핵심적인 세 단계를 거쳐 협력사를 선별한다. 세부 과정은 통상적으로 협력사 ESG 평가와 유사하지만 최종적으로는 ESG 공급 망보고서 작성을 주 목적으로 삼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종합하자면 최근 미국 대선 결과로 글로벌 ESG 공시 환경 전망이 불투명하더라도 EU 지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주요 기업들은 ESG 공시에 대한 일관성 있는 대응 준비를 이어나가야 하며 협력사 대상의 공급망 보고서 발간에 대한 신속한 사전 준비가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