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로 4대 금융지주의 주가가 급락해 시가총액 11조 원이 사라졌다. 각 금융지주들은 올 초부터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에 발맞춰왔던 노력이 정치 리스크로 한순간에 무너지자 허탈한 모습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현재의 주가 하락 상황에 각 회사가 대응할 방법이 딱히 없어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 게다가 앞으로 이어질 대통령 탄핵 정국으로 당분간 불확실성이 이어질 뿐 아니라 만약 정권이 교체된다면 ‘횡재세’ 리스크가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있어 노심초사하고 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이날 시가총액은 88조 8820억 원으로 비상계엄 사태 발생 전날 99조 9500억 원에 비해 11조 680억 원(11.1%) 쪼그라들었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주식시장에서 외국인이 대거 이탈하면서 금융지주들의 주가가 큰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실제 KB금융(105560)의 주가는 3일에 비해 이날 15.7% 떨어졌고 신한금융(-9%), 하나금융(-7.9%), 우리금융(-5.9%) 등도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날에는 일부 회사의 주가가 상승 마감하기도 했지만 모두 계엄 선포 직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금융권은 하룻밤 사이 일어난 계엄 사태의 여파에 큰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 4대 금융지주의 공통된 목표 중 하나는 주주 환원 극대화였는데 한순간에 물거품이 돼버렸다”며 “환율이나 금리 등 즉각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영향을 비롯해 자금 조달 여건 등을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거의 1년 동안 노력해왔던 밸류업 정책이 정치 리스크로 ‘없던 일’처럼 되니 허탈하다”며 고개를 가로저었다. 주가 하락을 막을 이렇다 할 대응책이 없다는 점도 금융권의 답답함을 키운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국가적 이슈로 외국인이 증시 전반에서 이탈하는 형국에 개별 회사가 나서서 기업설명회(IR) 등 특별한 대응을 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수긍할 부분은 수긍하고 성과로 만회해 주가가 더 오를 수 있기를 기대할 뿐”이라고 전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이달 20일로 예정된 밸류업지수 구성 종목 변경(리밸런싱)도 호재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분위기다. 올 9월 이 지수에 편입되지 못했던 KB금융과 하나금융은 밸류업 공시를 이행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해왔고 편입될 가능성도 높지만 밸류업 자체의 동력이 상실돼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스럽기 때문이다.
문제는 정치 리스크가 장기화해 실적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계엄 사태와 관련해 정치권에 변동이 있을 때마다 환율이 급등하면서 수익성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지주 관계자는 “4분기 실적 마감을 앞두고 환율 리스크가 너무 커지고 있다”며 “탄핵 정국이 이어질 경우 고환율 상황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아 환차손 규모가 더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되고 정권 교체가 이뤄져도 넘어야 할 산이 또 있다. 그동안 야당이 추진해온 ‘횡재세’가 도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11월 은행을 비롯한 증권·보험사의 이윤에 횡재세를 도입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한 바 있다. 금융지주들은 만약 횡재세가 도입된다면 은행의 기초 체력이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재 정부가 실시 중인 상생 금융은 은행 입장에서도 소비자와 접점을 키울 수 있다는 ‘윈윈’ 관점의 사회 공헌”이라면서 “하지만 횡재세는 이와는 성격이 다른 만큼 이익 창출과 배당 확대 기조를 유지하는 데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