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산업  >  기업

엘앤씨바이오, 아시아 연합학회서 '메가너브 프라임' 우수성 확인

"신경 이식 6개월 뒤 유의미한 회복"
10조 원 규모 신경 이식 시장 겨냥

엘앤씨바이오, 아시아 연합학회서 '메가너브 프라임' 우수성 확인
로버트 얍 싱가포르종합병원 상지외과 과장 겸 선임 컨설턴트가 싱가포르에서 열린 복합수부외과학회(Combined Hand Surgery Summit) 런천 심포지엄에서 엘앤씨바이오의 동종신경이식재 ‘메가너브 프라임’의 임상적 유효성과 관련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엘앤씨바이오


엘앤씨바이오(290650)는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복합수부외과학회(Combined Hand Surgery Summit) 런천 심포지엄에서 동종신경이식재인 ‘메가너브 프라임’의 임상 효과를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행사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4개국의 수부외과학회가 진행하는 첫 번째 대규모 연합 학회다.


이 자리에서 로버트 얍 싱가포르종합병원 상지외과 과장 겸 선임 컨설턴트는 메가너브 프라임의 우수성과 임상적 유효성을 발표했다. 엘앤씨바이오에 따르면 메가너브 프라임은 기존 제품과 다르게 실온 보관이 가능해 운반·보관이 쉽고 신경 이식 수술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빠른 수술이 가능하다는 점은 신경 회복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얍 과장은 발표에서 “메가너브 프라임으로 수술한 환자 케이스에서 3개월에 걸쳐 점진적 신경 회복이 이뤄졌다”며 “신경 이식 6개월 후에는 유의미한 회복을 확인할 수 있고, 추가로 빠른 회복을 위해서는 적절한 재활 치료와 물리 치료가 병용돼야 한다”고 소개했다.


런천 심포지엄과 더불어 진행된 워크숍에서는 의료진이 메가너브 프라임을 직접 다뤄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엘앤씨바이오 관계자는 “메가너브 프라임은 세계 최초 상온 보관이 가능한 수화 타입 무세포 동종이식재로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이점이 크다”며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 시장으로 공급해 많은 환자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메가너브 프라임이 겨냥하는 신경 이식 관련 시장 규모는 미국 기준 27억 달러(약 3조 9000억 원) 이상이다. 업계에서는 전 세계 관련 시장 규모가 1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미국 나스닥 상장사인 엑소젠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엘앤씨바이오는 현재 메가너브 프라임의 적응증 확대를 위해 국내 대학병원들과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임상을 진행 중인 유방재건 시 신경 재생, 수부신경 손상 시 신경재생 등 2개 적응증은 신경 이식 시장에서 약 80%를 차지한다. 엘앤씨바이오는 중국에 이어 미국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