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그룹이 미래 먹거리로 점찍은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지난해 적자전환했다. 인천 송도 신공장을 착공하는 등 본격적으로 투자를 늘린 영향이다. 전년 대비 매출액도 2% 늘어나는 데 그쳐 신규 수주가 절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0일 롯데지주(004990)가 발표한 202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지난해 매출 2344억 원, 순손실 897억 원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2022년 설립한 해 미국 시큐러스 공장을 인수, 매출 0월, 순손실 177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시큐러스 공장 인수효과가 나타나면서 매출 2285억 원, 순이익 567억 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불과 1년 만에 대규모 적자로 돌아선 것이다.
|
롯데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인천 송도 공장을 짓기 시작하는 등 막대한 투자가 이뤄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실제 회사측은 지난해 미국 시러큐스 공장에 항체·약물접합체(ADC) 생산라인을 구축했고, 인천 송도에 바이오 플랜트 1공장 착공에 돌입했다. 시러큐스의 ADC 생산라인은 올 상반기 중으로 가동될 예정이고, 12만 리터 규모의 송도 1공장은 2027년 완공될 계획이다.
대규모 투자에 따른 일시적 적자는 발생할 수 있지만 문제는 신규 수주가 없다는 점이다. 출범 이후 꾸준히 수주 활동을 이어오고 있지만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BMS) 공장 인수 때 받은 물량 외에는 아직 새로 발표된 수주계약은 없다. 이런 상황이 장기화할 경우 미국 공장은 물론 국내 공장을 완공하더라도 생산할 물량이 없어 공장을 돌릴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최근 취임한 제임스 박 대표의 글로벌 영업활동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회사 관계자는 “ADC 공장을 완공을 앞두고 글로벌 제약사들과 수주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송도 신공장이 2027년 완공되는 만큼 본격적인 매출은 그 이후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롯데그룹은 총 3차례의 롯데바이오로직스 유상증자에 참여해 5700여 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지원했다. 오너가 3세 신유열 전무도 사내이사로 참여해 현안을 챙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