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료율(내는 돈)은 13%, 소득대체율(받는 돈)은 43%로 인상하는 국민연금 개혁안에 찬성 하는 의견이 39%, 반대하는 의견은 46%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20대는 반대한다는 응답이 63%로 찬성 25%보다 2.5배나 많았다.
27일 발표된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24∼26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에 따르면 국회를 통과한 국민연금 개혁안에 대한 찬반 의견이 이같이 집계됐다. ‘모름/무응답’은 15%를 기록했다.
응답자 연령별로 보면 20대인 18~29세에서 ‘반대한다’는 응답이 63%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30~39세에서는 58%가 반대했다. 40~40세는 ‘반대한다’는 응답이 50%, 50∼59세는 45%, 60∼69세는 36%, 70세 이상은 24%로 각각 집계됐다. 50대를 기점으로 갈라진 현상이 뚜렷했다.
연금전문가들은 60세 이상에서 연금 개혁안이 소급 적용되지 않아 소득대체율 인상효과는 2030세대에게 더 크고 5060세대에 견줘 연금 수익이 줄어드는 것은 맞지만, 2030세대도 내는 돈 보다 많은 돈을 돌려받는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일부 여권 대선주자를 중심으로 젊은 층이 일방적으로 손해를 본다며 거부권 행사까지 주장하면서 여론이 엇갈린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국회는 지난 20일 본회의를 열어 국민연금법 일부개정안을 통과시켰다.
해당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진행됐으며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응답률은 18.0%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