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국제  >  기업

'장사꾼 본색' 트럼프, 관세 전쟁 협상 카드로 틱톡 꺼냈다

■"美에 넘기면 中관세 인하" 제안
틱톡금지법 유예 내달 5일 종료
관세와 엮어 '美기업에 매각' 압박
레딧 창업자·오라클 등 인수 관심
中첨단기술 규제 부서 예산 깎아
"기술 경쟁은 뒷전" 논란 촉발도

'장사꾼 본색' 트럼프, 관세 전쟁 협상 카드로 틱톡 꺼냈다


다음 달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계 숏폼(길이가 짧은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자국 기업에 넘기면 중국에 대한 관세를 깎아줄 수 있다고 제안했다. 미국 기업이 사업권을 인수하지 않으면 다음 달 ‘틱톡금지법’이 시행된다는 점을 앞세워 협상 카드를 던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25% 자동차 관세를 발표하면서 “틱톡에 관해 중국이 아마도 (미국 내 사업권 매각 관련) 승인 형태의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것이 성사되면 중국에 약간의 관세 인하나 다른 것을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상반기 회동을 물밑 조율하는 상황에서 틱톡금지법을 관세와 엮어 먼저 협상 대상으로 제안한 셈이다.


틱톡은 중국계 회사인 바이트댄스가 소유한 플랫폼으로 구글의 유튜브나 메타의 인스타그램 등과 경쟁 관계에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의 장이밍 창업자는 26일 기준으로 575억 달러(약 84조 6000억 원)의 순자산을 보유해 처음으로 중국 최대 부호로 올라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만 해도 미국 내 틱톡 사용 금지를 적극적으로 주도하다가 2기 들어서는 취임 당일부터 관련 법안을 75일 유예했다. 대선 과정에서 틱톡을 통해 젊은 층 공략에 성공한 만큼 서비스는 살리되 미국 기업이 사업권을 인수한다는 구상에서다. 틱톡금지법은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자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사업을 금지하는 법안으로 미국인 개인정보 보호를 명목으로 지난해 4월 제정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금지법 시행을 미루는 대신 미국 회사에 사업권을 인수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바이트댄스와 합작회사를 만든 뒤 미국 법인이 50% 이상 지분을 갖는 방안도 제시했다. 외신 등에 따르면 틱톡의 미국 사업권 인수에 관심을 보이는 곳은 프랭크 맥코트 전 LA다저스 구단주와 알렉시스 오해니언 레딧 공동창업자가 이끄는 컨소시엄, 유명 유튜버 미스터비스트가 포함된 투자자 그룹, 오라클 컨소시엄, 인공지능(AI) 기업 퍼플렉시티 등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0일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을 위해 4개의 컨소시엄과 협상 중이고 거래가 곧 성사될 것”이라고 장담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빌미로 중국에 협상 카드를 내밀기 시작했다고 해석했다. 바이트댄스와 트럼프 행정부, 미국 기업 간 협상이 타결되더라도 틱톡 매각이 마무리되려면 중국 정부가 반드시 승인을 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2020년 8월 중국 상무부와 과학기술부가 발표한 ‘수출 금지·제한 대상 기술 목록’ 수정안에 따르면 틱톡과 같이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정보 제공 서비스·기술은 수출통제 대상이다. 특히 매각 대상에 알고리즘 소유권 포함 여부는 미국의 개인정보 보호, 중국의 자국 기술 보호 문제가 모두 걸린 사안이라 미중 양국이 충돌할 수 있는 부분으로 꼽힌다. 바이트댄스는 2020년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사업권 매각을 요구하자 중국 상무부에 승인을 요청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중국의 첨단기술 규제를 담당하는 상무부 산업안보국(BIS) 예산을 10% 삭감하면서 논란을 촉발했다. 정부가 미중 기술 경쟁 우위보다 연방 예산 절약에 매달리는 게 아니냐는 불만이 터져나온 것이다. BIS는 최근에도 중국의 AI 관련 기업·기관 53곳을 ‘거래 제한 명단’에 포함시키며 무더기로 제재한 곳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달 24일 BIS의 예산을 2000만 달러(약 293억 원)나 이미 깎았다. 이에 민주당 상원의원들은 26일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국장에게 서한을 보내 “본질적으로 우리의 적들에게 미국 기술을 개방하는 기간이라고 떠벌리고 있다”고 반발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