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트럼프 “車 25% 관세”…정부·기업 원팀 대응으로 활로 찾아야  

  • 논설위원실 논설위원
  • 2025-03-28 00:02:04
  • 사설
[사설] 트럼프 “車 25% 관세”…정부·기업 원팀 대응으로 활로 찾아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 자동차 관세에 관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들어 보이고 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4월 3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두 번째 품목 관세다. 이번 관세 폭탄은 한국·일본·유럽·멕시코·캐나다에서 생산된 자동차와 핵심 부품을 겨냥했다. 자동차가 대미(對美) 수출품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에는 직격탄이 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방국이 적국보다 훨씬 더 우리를 나쁘게 대우했다”고 말하며 상호 관세 부과를 발표하는 다음 달 2일을 ‘해방의 날’이라고 표현했다.


자동차 관세 부과는 우리의 자동차 산업뿐 아니라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미 자동차 수출 규모는 347억 4400만 달러(약 51조 원)로 전체 자동차 수출의 49.1%에 달했다. 산업연구원은 관세 부과로 인해 자동차 생산이 최대 90만 대 감소하고 대미 수출이 20.5%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은 관세 압박을 반영해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2%로 낮췄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 행정명령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공격한 점도 우려스럽다.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부과하는 자동차 관세를 계기로 한미 FTA의 특례 관세 혜택을 무력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관세 압박을 피할 수 있는 해결책은 미국 현지 생산 확대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이날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을 갖고 미국 내 100만 대 생산 체제를 완성했다. 현대차의 발 빠른 대응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관세는 국가 간 문제이며, 협상은 정부가 주도하고 기업은 기업대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와 기업이 함께 대처해야 한다는 것이다. 민관정이 힘을 모아 총력 대응해야 할 때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직무 복귀를 계기로 국정 리더십 공백으로 주춤했던 통상 협상에 적극 나서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활로를 찾아야 한다. 정부는 한미 양국의 산업 협력 방안 등 윈윈 전략을 만들어 트럼프 행정부를 설득하고 기업들은 신기술 개발과 투자로 돌파구를 찾아야 할 것이다. 여야 정치권도 정쟁을 멈추고 의원 외교 등을 통해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