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8시간 걸리던 작업 3분만에…LG전자 '제조 AI' 기술로 B2B 공략

품질 예측 시간 최대 99% 단축
글로벌 최고 수준 AI 학회에 논문 제출
가전·車부품 사업에 우선 채택
스마트팩토리 사업에도 확대 적용

  • 노우리 기자
  • 2025-03-28 07:20:21
  • 경제동향
8시간 걸리던 작업 3분만에…LG전자 '제조 AI' 기술로 B2B 공략
LG전자의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인 ‘Eng.AI’를 활용해 냉장고용 부품 품질을 예측하는 모습.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066570)가 제품 설계 단계부터 인공지능(AI)이 품질을 예측하는 기술을 도입한다. 이를 통해 개발기간 단축과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앞세워 기업간거래(B2B) 시장을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LG전자는 완성 제품의 품질 예측 시간을 기존 대비 최대 99% 단축하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기존에는 시제품 제작 전 품질을 예측하기까지 약 3∼8시간이 소요됐지만, LG전자의 AI 기술을 활용하면 별도의 시뮬레이션 없이 3분 이내 예측이 가능하다.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AI 기술과 비교해도 분석을 위한 AI 학습 시간이 95% 이상 단축됐다. 메모리 사용량은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이면서도 정확도는 15% 이상 올랐다.


LG전자는 해당 제조 AI 기술을 냉장고, 세탁기 등 생활가전과 TV, 차량용 제품에 탑재되는 부품 설계에 순차 적용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이를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에 적용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외판·컨설팅 사업의 경쟁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현재 LG전자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은 생산시스템 설계·모니터링·운영, 빅데이터 및 생성형 AI 기반 설비·공정관리, 산업안전, 품질검사, 산업용 로봇 등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제품 개발 및 생산 요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AX 솔루션도 준비 중이다.


LG전자는 작년부터 박찬영 한국과학기술원(KAIST)교수팀과 제품 설계 과정의 효율화를 위한 검증 기술을 공동 연구해 왔고 최근에는 AI 분야 글로벌 최고 수준 학회인 국제머신러닝학회에 관련 논문을 제출해 학술적으로도 기술 검증을 받을 계획이다.


정대화 LG전자 생산기술원장 사장은 "AI 기반의 검증 기술로 제품 개발 주기의 단축은 물론 개발 효율성 역시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