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 31일 공매도 재개와 다음 달 2일 미국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경계감이 커지며 국내 투자심리가 얼어붙고 있다. 대체거래소(ATS) 넥스트레이드가 이달 24일부터 프리·애프터마켓에서 거래가 가능한 종목 수를 3배 넘게 늘렸음에도 국내 증시 거래 대금은 6조 원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달 국내외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당분간 관망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금융투자협회와 넥스트레이드에 따르면 프리·메인·애프터마켓 거래를 모두 포함한 3월 셋째 주(24~27일) 코스피와 코스닥 거래 대금 평균은 15조 3346억 원으로 직전 주(17~21일) 21조 1300억 원 대비 5조 8355억 원 감소했다. 24일부터 넥스트레이드에서 거래할 수 있는 종목이 기존 110개에서 350개로 확대됐지만 거래 대금은 오히려 감소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최근 증시가 흔들리자 ‘일단 상황을 지켜보자’는 관망 수요가 커지고 있다. 이번 달 상장주식 회전율 평균은 지난달(1.16) 대비 0.16 감소한 1.00을 기록했다. 상장주식 회전율은 일정 기간의 거래량을 상장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회전율이 높을수록 투자자 간 매매가 활발하게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공매도 재개를 앞둔 국내 증시는 이날 외국인투자가들의 이탈로 크게 휘청였다. 원·달러 환율이 최근 다시 오름세를 보이자 외국인들은 이날 하루에만 국내 주식 7589억 원어치를 던졌다.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9.17포인트(1.89%) 하락한 2557.98에 거래를 마쳤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가 2.59% 내렸으며 SK하이닉스(-3.72%)도 하락해 20만 원선을 내줬다. 현대차(-3.53%), 기아(-2.66%) 등 자동차주도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날 대비 13.73포인트(1.94%)하락한 693.86에 장을 마감했다. 코스닥 지수가 종가 기준으로 700포인트 밑으로 추락한 건 올 1월 2일 이후 약 3개월 만에 처음이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관세정책 혼란에 피로감이 누적됐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