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이 28일 인공지능(AI) 기술의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범정부 협의체인 ‘국가 AI안보 협의회’를 출범시켰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왕윤종 국가안보실 3차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가 AI안보 협의회 첫 회의를 주재했다. 국가정보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 국방부,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등의 국장급 인사들이 참석했다.
왕 차장은 “생성형 AI 등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오고 있는 반면 동시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며 “AI 기술 오용과 통제력 상실 등으로 인한 중대한 사이버 안보 위협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국가안보 차원의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대통령실과 유관 기관이 AI 안보 관련 정책과 현안을 신속하게 공유해 AI 안보 위협에 통합적·체계적으로 대응하기로 뜻을 모았다. 안보실 관계자는 “첫 회의에서는 AI 안보 위협 실태 및 부처별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협력 과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했다.
안보실은 주요 사안 발생시 협의회를 가동하고 공공기관 중심의 실무그룹도 별도로 운영할 방침이다. 협의회는 국가정보원이 간사 기관으로서 운영을 주도하고, 필요시 학계 및 민간 전문가를 초청해 AI 안보 위협에 대한 범정부 협업과 논의의 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