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산업  >  바이오&ICT

국민 10명 중 6명 AI 쓴다…생성형 서비스 이용 2배↑

지난해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
생성형 AI 이용률 33.3%
알리·테무에 직구 이용 급증

  • 김윤수 기자
  • 2025-03-30 12:00:21
  • 바이오&ICT
국민 10명 중 6명 AI 쓴다…생성형 서비스 이용 2배↑
국민의 AI 서비스 이용률. 사진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민 10명 중 6명이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써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챗GPT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률은 1년 새 2배 가까이 증가하며 빠르게 확산하는 추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지난해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2만 5509가구와 만 3세 이상 가구원 6만 229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 환경과 이용률, 이용 시간과 목적, 주요 서비스 활용 등을 조사한 결과다.


AI 서비스를 경험해봤다고 답한 응답자는 60.3%였다. 2021년 32.4%에서 202년 42.4%, 2023년 50.8% 등 매년 약 10%포인트 꾸준히 증가했다. 응답자들은 자율주행 등 교통 분야에서 ‘만족한다’는 답변이 98.3%로 가장 높았다. 향후 가사 지원 로봇, 사물인터넷(IoT) 가전 등 주거 편의 분야의 AI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응답도 78.2%에 달해 수요가 확인됐다.


생성형 AI 서비스를 경험해봤다는 응답 비율은 33.3%로 전년 17.6% 대비 2배 가까이로 높아졌다. 단순 정보검색(81.9%)뿐 아니라 문서작업 보조(44.4%), 외국어 번역(40%), 창작 및 취미활동 보조(15.2%), 코딩 및 프로그램 개발(6.3%) 등에도 생성형 AI를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AI에 대한 인식은 전년 대비 악화해 신뢰도와 투명성 제고 노력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I의 개인정보 수집처리 방법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43.3%로 전년보다 9.2%포인트 줄었다. AI가 심리적 도움과 즐거움을 준다는 응답도 9.6%포인트 감소한 46.2%에 그쳤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의 등장으로 해외직구 이용 비율도 크게 증가했다. 인터넷 쇼핑 이용자의 해외직구 이용률은 2023년 20%에서 지난해 34.3%로 1.7배 늘었다. 30대가 47.2%로 이용률이 가장 높았고 20대(43.5%)와 40대(36.8%)가 뒤를 이었다. 20대와 30대는 각각 전년 대비 20%포인트 이용률이 늘었다.


식료품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구독 서비스 이용 비율은 49.4%로 전년 대비 3.8배 증가했다. 인터넷 접속률은 99.97%에 달했다. 인터넷 이용자의 90.5%는 하루에 1회 이상, 주 평균 20.5시간 이용했다. 인터넷 이용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구(97.5%),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88.9%)이었다. 인터넷 이용자의 97.7%가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했고 가장 많이 이용하는 메신저는 카카오톡(98.0%)인 것으로 조사됐다.


엄열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AI 기술이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닌 우리 생활의 필수적인 기반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AI 서비스가 국민의 일상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이용 역량 강화, 윤리적 활용 방안 마련 등 다양한 정책과제를 적극 발굴·추진할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