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조 7000억 원이 넘는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새마을금고의 예대금리 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손실을 메우기 위해서는 올 들어 수신금리는 낮추고 대출금리는 높일 수밖에 없어 서민들의 한숨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3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2월 신규 취급 기준 정기예탁금 가중평균 금리는 연 3.38%로 전월 대비 0.03%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기간 일반대출 금리는 4.94%에서 4.96%로 0.02%포인트 올랐다. 그 결과 새마을금고의 예대금리 차이는 1월 1.53%포인트에서 2월에는 1.58%포인트로 커졌다. 2월 들어 서민금융기관 가운데 대출금리가 올라간 곳은 새마을금고가 유일하다.
문제는 고객들의 반응이다. 부실 확대에 따른 고객 이탈이 가시화할 경우 새마을금고는 더 높은 예금 금리와 낮은 대출금리를 제공할 수밖에 없다. 새마을금고 지난해 실적이 나온 것이 21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조달비용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는 새마을금고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져 엎친 데 덮친 격이 될 수 있다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실적이 좋지 않은 부실 조합은 일반적으로 예금 금리를 더 많이 줘야 고객들을 모을 수 있다”며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나타나면서 부실 조합의 어려움이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1~3월에만 예금이 5조 1892억 원이 불어나 상반기 재예치 부담이 적지 않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4월 1일부터 금융감독원·예금보험공사와 함께 새마을금고 정부 합동 감사에 들어간다. 정부는 합동 감사에서 △대출심사 절차 준수 여부 △채권 보전 조치 실시 여부 △기업대출 사후 점검 매뉴얼 준수 여부 등 대출 관련 주요 위반 사항을 중점적으로 들여다볼 예정이다.
감사 대상은 자산 규모 3000억 원 이상 금고 중 연체율과 기업대출 취급 비율, 부동산업·건설업 취급 비율, 감사 주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리스크가 높다고 판단된 32개 금고다. 정부는 감사 대상인 32개 금고와 별도로 직장 내 성비위 및 갑질이 발생한 곳과 부당 대출이 드러난 금고는 기획검사를 통해 즉각 대응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