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문화 · 스포츠  >  

트럼프發 '관세 폭탄' 피한 SK바이오팜, 주가 '쑥' [Why 바이오]

백악관, "의약품에 상호관세 적용 안 해"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美 매출 80%
SK바팜, "필요 시 즉각 현지 생산 돌입"

  • 이정민 기자
  • 2025-04-03 10:52:09

트럼프, T뇌전증, 상호관세

트럼프發 '관세 폭탄' 피한 SK바이오팜, 주가 '쑥' [Why 바이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명 엑스코프리)’. 사진 제공=SK바이오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 관세에 의약품이 제외됐다는 소식에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SK바이오팜(326030)의 주가가 상승하고 있다.


3일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SK바이오팜은 이날 10시 30분 기준 전일 대비 4.01% 오른 10만 37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트럼프발 '관세 폭탄'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일시적으로 해소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은 지난해 회사 매출 5476억 원 중 미국 내 매출 비중만 80%에 달한다.


백악관은 2일(현지시간) 배포한 설명자료에서 "철강·알루미늄, 의약품, 반도체 등 일부 상품에는 상호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 알루미늄에 이어 의약품에도 25% 수준의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한 바 있다. 품목별 관세 25%에 상호관세까지 더해지면 최대 50% '관세 폭탄'을 맞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


SK바이오팜은 일단 상황을 지켜보면서 향후 변동 가능성에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미국 내 약 6개월분의 의약품 재고를 확보하고 있고 필요한 시점에 즉각 현지생산에 돌입하겠다는 계획이다. 세노바메이트는 국내에서 원료의약품(API) 제조 후 캐나다에서 완제의약품으로 만들어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공급망 다변화 차원에서 2~3년 전부터 캐나다 외 미국 내 생산을 준비해 왔었다"며 "미국 내 생산을 위한 준비를 이미 완료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은 시설에서 필요 시 즉시 생산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민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의약품은 상호관세 면제품목이며 의약품 공급 차질 우려 등을 고려할 때 보편관세 역시 즉각 반영될 것으로 간주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트럼프發 '관세 폭탄' 피한 SK바이오팜, 주가 '쑥' [Why 바이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