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지역 특성에 맞는 외국인 전문인력을 본격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부산시는 대학과 산업계를 연계해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고 이들이 부산에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지역 경제와 인구 감소 문제를 동시에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3일 “미래 신산업 분야의 글로벌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중대한 발판이 될 법무부의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공모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은 광역지자체가 지역 특성과 산업적 필요를 반영해 비자 발급 요건을 설계하고 법무부의 승인을 통해 시행하는 제도다. 전국 16개 광역지자체가 공모에 참여했으며 부산을 포함해 서울·인천·대구·경북 등 14개 지역이 최종 선정됐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 자동차 부품 등 미래 신산업 분야에서 활동할 외국인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올해부터 2년간 총 1000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지역 대학으로 유치할 계획이다. 특히 비자 발급 요건 완화를 통해 재정 능력 기준(1600만 원 보유)을 낮추고 학기 중 인턴 활동을 허용함으로써 유학생들의 초기 진입 장벽을 낮췄다.
시는 이번 사업이 단순히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그치지 않고 이들이 부산에서 전문성을 쌓고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역 대학과 산업계의 협력을 강화하고 취업 및 정주 기반 구축에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와 글로컬 대학 육성 사업 등 기존의 유학생 지원 정책과 이번 시범사업을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 기장·장안지구의 기회발전특구와 같은 부산의 주요 전략 산업 정책과도 연동해 외국인 전문인력이 지역 경제 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이번 사업은 단순히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대학에 활력을 불어넣고 교육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시는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 자동차 부품 등 지역 주요 전략 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전문 인력을 확보함으로써 지역 경제 발전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공모사업 선정은 부산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지역 대학과 산업이 상생 발전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글로벌 인재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통해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인구 감소 문제 극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