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산업  >  기업

관세 칼날 피해간 반도체·바이오…"美 취약한 공급망 우선 고려한듯"

첨단칩 사용 빅테크들 손해 우려
미국내 커진 의료비 부담도 반영
백악관 "산업별 관세 부과" 계획
한숨 돌린 국내업계 긴장감 여전
한숨 돌린 국내업계 긴장 지속
"별도 산업별 관세 계획" 전망도

  • 강해령 기자,한민구 기자
  • 2025-04-03 17:47:55
  • 기업
관세 칼날 피해간 반도체·바이오…'美 취약한 공급망 우선 고려한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 시간) 한국의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의약품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한 것은 미국 내 관련 공급망이 취약한 상황을 우선 고려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국 내 대체재가 마땅치 않거나 급격한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는 품목은 관세 폭격에서 제외한 셈이다. 국내 반도체·바이오 업계는 일단 한숨을 돌린 분위기지만 후속 사태에 대비하려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트럼프 정부는 상호관세 발표에서 반도체를 제외한 데 대해 “별도의 산업별 관세를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는 표면적인 이유일 뿐 미국 내에 삼성전자·SK하이닉스·TSMC 등이 만들고 있는 첨단 반도체 제품에 대한 대체재가 충분하지 않아 포함시키지 않은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반도체에 관세를 매기면 미국 테크 기업들이 훨씬 더 손해를 볼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세 칼날 피해간 반도체·바이오…'美 취약한 공급망 우선 고려한듯'


한국 반도체의 전체 수출 중 미국 비중은 7.2%로 중국(33.3%), 홍콩(18.4%), 대만(14.5%) 등에 비해 적은 편이다. 다만 여러 나라를 거쳐 만들어지는 반도체 공급망의 특성상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위협대로 관세를 부과하면 적잖은 부담이 있을 것으로 우려됐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 측 상호관세 발표에 어떠한 공식 입장도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상황을 예의 주시하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다각도로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정부가 “별도의 산업별 관세를 구상하고 있다”며 이번에 상호관세 대상에서 뺀 의약품 역시 바이오 업계에서는 의료비 부담이 높아져 미 국민들의 보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항암제 등 생명과 직결된 의약품 가격이 높아지면 트럼프 정부 지지층 중 한 축인 서민 노동자가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된다”고 말했다.


다만 의약품에 따라 선별적으로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제약·바이오 업계는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또 다른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비만 치료제, 보툴리눔 톡신 등 미용과 관련된 의약품은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면서 “의약품별로 관세가 부과될 수 있어 안도하기는 이르다”고 전했다.


미국 내 바이오 제품 생산을 유도하는 정책 기조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SK바이오팜은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시 미국 내 제조 시설에 위탁 생산을 맡기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