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산 탄저병 백신이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 질병관리청이 국산화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하고 GC녹십자(006280)와 공동개발에 나선 지 28년만이다. 그것도 국내 기술로 개발한 세계 최초 유전자재조합 방식의 탄저 백신이다. 탄저병은 감염됐을 때 치사율이 최대 90%에 이르는 치명적 질병으로 그동안 전량 수입하던 탄저백신을 자급하게 됨에 따라 ‘백신주권’ 확립에도 한 걸음 다가서게 됐다.
식약처는 8일 ㈜녹십자가 신청한 ‘배리트락스주(흡착탄저백신(유전자재조합))’를 허가했다. 이 백신은 탄저균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는 항체가 인체에서 생성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세균의 구성 성분 중 방어항원 단백질을 유전자재조합 기술로 제조했다. 방어항원은 탄저균이 인체에 감염됐을 때 생성되는 독소 중 하나로 탄저병 예방을 위한 면역원으로 작용한다.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증상에 따라 피부 탄저, 위장관 탄저, 흡입 탄저로 나뉜다. 치료받지 못했을 때 치명률은 각각 20%, 25∼60%, 97%씩이다. 2000년 8월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아직 국내에서 발생이 보고되지는 않았다.
|
배리트락스는 질병관리청이 주관하고 녹십자가 협력한 민관 공동개발 작품이다. 질병청은 1997년부터 후보물질 발굴을 시작으로 백신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어 녹십자와 함께 백신 공정개발 및 임상시험 등을 수행했다. 장기간 개발을 거쳐 녹십자는 2023년 10월 식약처에 배리트락스의 국내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식약처는 전담심사팀을 꾸려 안전성·효과성 및 품질을 집중심사한 결과 최종 허가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건강한 성인 대상 임상시험에서는 백신 접종 그룹에서 탄저균의 독소를 무력화할 수 있는 항체가 유의미하게 생성됐다. 급성·중증 이상 사례는 없었으며 경미한 이상 반응은 백신 접종군과 위약 접종군 간에 큰 차이가 없어 유효성과 안전성이 입증됐다. 임상 3상은 탄저균이 사람에게 감염되면 치명률이 매우 높은 특성상 동물실험으로 대체했다. 그 결과 독소 중화 항체가 유지되고, 탄저균 포자 공격에 대해서도 높은 생존률을 확인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감염병 대응을 넘어 글로벌 보건 안보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국가 위기 상황에 대비해 탄저백신의 생산·비축도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생물테러감염병 예방 등 국가 위기상황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탄저백신 자급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