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가 파행으로 끝난 데는 준비·운영 기구인 조직위와 주무 부처이자 감독 기관인 여성가족부의 허위 보고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은 새만금 잼버리는 업무 처리 총체적 부실로 성공 개최에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감사원은 10일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추진 실태에 대한 감사 착수 1년 6개월 만에 이 같은 결과를 담은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추진 실태’ 감사 보고서를 공개했다. 감사원은 대회 준비·운영 업무를 총괄하는 조직위의 사무총장에 전문성이 부족한 여가부 퇴직 공무원이 선임되고 국제 행사 경험이 있는 직원 비율이 6.3%(159명 중 10명)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또 조직위는 여가부에 시설 설치 일정을 실제보다 빠르게 보고하거나 설치가 완료된 것처럼 허위 보고해 정부가 보완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는 원인 제공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조직위 준비 상황을 점검·지도·감독하고 국무회의에 준비 상황을 보고해야 하는 여가부가 결정적으로 국무회의에 허위 보고함으로써 사태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당시 김현숙 여가부 장관은 조직위로부터 화장실·샤워장 미설치 사실을 보고받고 현장 점검에서 의료·사무기기 등의 시설이 설치 완료되지 않은 사실을 확인하고도 “시설 설치가 완료됐다”고 허위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전북도가 부적합한 곳을 부지로 선정했다고 감사원은 지적했다.
감사원은 잼버리 부실 사태의 위법·부당 행위로 연루된 전현직 공무원과 민간업자 15명을 해당 기관에 징계 요구, 인사 자료 통보, 수사 요청, 수사 참고 자료 송부 처분했다. 업무를 부실 처리한 여가부와 전북도에 대해서는 기관 차원의 주의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