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산업  >  기업

'AI데이터센터 특화' 액체냉각 솔루션 띄운 LG전자

美서 열린 'DCW 2025' 첫 참가
HVAC 기반 다양한 라인업 과시
올해 1분기 매출 3조 돌파 분석도

'AI데이터센터 특화' 액체냉각 솔루션 띄운 LG전자
LG전자가 14일(현지시간)부터 17일까지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데이터센터월드' 2025에 처음 참가한다. LG전자 모델들이 이달 초 서울 강남구에서 열린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에서 액체냉각 솔루션(CDU)을 소개하고 있다.사진=LG전자

LG전자(066570)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겨냥해 액체 냉각 솔루션을 대거 선보이며 냉난방공조(HVAC) 사업 확대에 나선다.


LG전자는 14~17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데이터센터월드(DCW) 2025’에 처음으로 참가해 액체냉각 솔루션(CDU) 등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인다고 13일 밝혔다. LG전자 CDU는 데이터센터 내에서 칩의 열을 직접 냉각하는 솔루션으로, 핵심 부품 기술력을 통해 안정성과 고효율을 구현했다. LG전자는 올해 상반기까지 CDU 개발을 완료하고 연내 글로벌 고객사의 AI 데이터센터에 본격 공급한다는 목표다.


LG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칠러의 대표 제품인 무급유 인버터 터보 칠러 및 자체 개발한 고효율 팬과 모터를 적용해 공기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팬월유닛(FWU)도 공개한다. LG전자는 최근 평택 칠러공장에 AI 데이터센터 전용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서버 랙을 설치해 CDU와 칠러·FWU를 통한 체계적인 냉각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서버와 장비를 절연된 액체에 직접 담그는 액침 냉각 방식도 연구 개발 중이다.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부사장)은 “LG전자는 초대형 냉방기인 칠러뿐만 아니라 CDU 등 다양한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을 보유했다”며 “차별화된 HVAC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간거래(B2B) 사업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전자 HVAC 사업이 올해 1분기 3조 원을 웃도는 매출을 올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HVAC 사업을 담당하는 ES사업본부는 올해 1분기에 두 자릿수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해 LG전자 내 4개 사업본부 중 가장 수익성이 좋을 것으로 전망된다. ES사업본부 1분기 매출로 대신증권은 3조 1040억 원, iM증권은 3조 1000억 원, 한국투자증권은 3조 731억 원을 각각 예상했다. 영업이익은 3500억 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LG전자는 지난해 말 조직 개편을 통해 HVAC 사업을 기존 H&A사업본부에서 분리해 별도로 ES사업본부를 신설했다. AI 혁신과 맞물려 데이터센터 구축이 이어지면서 열 관리에 필수적인 칠러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조직 개편 이후 ES사업본부의 영업이익률은 다른 사업부를 압도했다. LG전자가 이달 7일 1분기 잠정 실적과 함께 공시한 ‘조직 개편 후 기준 2024년 실적’을 보면 ES사업본부는 지난해 연간 매출 8조 8211억 원, 영업이익 6753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4개 사업본부 중 가장 적지만 영업이익은 가전 사업을 담당하는 HS사업본부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영업이익률은 7.7%로 가장 높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