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SDI(006400)가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 삼성SDI는 1분기 연결기준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34% 줄어든 3조 1768억 원, 영업이익은 4341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순이익도 1분기에 2160억 원 순손실로 적자를 면치 못했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여파로 주요 고객들이 재고를 조정하며 매출이 급감했다. 또 에너지저장장치(ESS)가 계절적 비수기에 진입하면서 매출이 줄어드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매출 감소로 공장 가동률이 하락하고 고정비가 증가하면서 수익성은 악화됐다. 삼성SDI 관계자는 “완성차 업체들이 기존 재고 소진에 집중한 가운데 신규 발주가 지연돼 생산 차질이 발생했다”며 고 설명했다.
주력 사업의 매출이 하락하는 와중에서도 전자재료 부문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 중심으로 수요가 회복되면서 실적이 소폭 개선됐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1959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6.4% 감소했지만 전분기 대비로는 3.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83억 원을 기록했다.
삼성SDI는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미래 성장을 위한 주요 프로젝트를 지속 추진했다고 강조했다. 미국에 건설한 스텔란티스와 합작법인을 조기 가동하고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법인 공장 건설 착수도 차질 없이 진행할 예정이다. 또 배터리 효율을 높여 시장에서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양산도 계획대로 개시할 예정이다. 나아가 현대자동차그룹과 체결한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 협약 등도 향후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다.
삼성SDI는 2분기부터 전방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면서 실적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유럽 지역은 이산화탄소 규제와 전기차 보조금 정책 확대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ESS 부문은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확산과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따라 전력용 및 무정전 전원장치(UPS) 중심의 시장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정부의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에 따라 국내 ESS 프로젝트 기회도 확대될 전망이다.
삼성SDI는 “2분기부터는 전방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면서 실적도 차츰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다만 최근 관세 정책 등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요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