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산업  >  기획·연재

'편리함 끝판왕' 세탁건조기 두고 삼성·LG 진검승부

삼성, 작업시간·가격서 매력
LG는 세탁 성능 '반사율' 우수
2년차 신제품 출시로 재격돌

'편리함 끝판왕' 세탁건조기 두고 삼성·LG 진검승부
오픈AI '달리'로 생성

급성장하는 일체형(올인원) 세탁건조기를 놓고 맞수 삼성전자(005930)LG전자(066570)가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세탁건조기는 버튼 한 번으로 건조까지 끝내는 편리함으로 불황 속 가전 시장의 ‘단비’로 여겨지는 제품이다.


15일 유통 업계와 시장조사 기관 등에 따르면 올인원 세탁건조기 시장에서 올 3월 말 삼성전자 점유율(판매량 기준)은 70%를 돌파하며 지난해(60% 중반)보다 LG전자와 격차를 더 벌렸다. LG전자는 외부 기관 조사에 LG베스트샵 판매치가 정확히 반영되지 않았으며 자사 점유율이 60%에 육박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백색가전에서 전통적으로 LG전자가 우세했던 점을 고려할 때 세탁건조기 결투에서는 삼성이 선전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올인원 세탁건조기는 버튼 한 번으로 건조까지 끝낼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업계에서 ‘꿈의 가전’으로 불린다. 삼성과 LG 모두 지난해 2월 처음 출시했는데 가전 시장 침체기에도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낼 수 있는 ‘비장의 카드’라는 점에서 양 사 모두 마케팅에 많은 공을 들였다.


출시 시기는 비슷하지만 원조는 LG다. LG전자는 2016년 북미와 유럽 등 일부 해외 국가에서 세탁과 건조를 한 번에 해결하는 비슷한 콘셉트의 가전을 일찍이 판매했다. 이후 2023년 열린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3’에서 양 사 모두 지금 형태의 올인원 세탁건조기 실물을 선보였다.


삼성전자가 원조의 아성에 대적할 수 있었던 비결은 가격경쟁력이다. LG전자가 지난해 내놓은 ‘트롬 오브제컬렉션 워시콤보’는 출고 가격이 449만 원, 프리미엄 버전인 ‘시그니처 세탁건조기’는 무려 690만 원에 달한다. 삼성전자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399만 9000원이다.


삼성 제품은 10% 이상 싼데도 성능 면에서 밀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 올 2월 한국소비자원 조사를 보면 삼성 제품은 세탁·건조 시간이 LG 제품보다 10~22분 짧고 전력 소비량도 적어 연간 전기료 9000원을 아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탁 성능을 의미하는 세탁 후 반사율은 LG전자 제품이 51%로 삼성전자보다 3%포인트 높아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출시 2년 차를 맞는 올해 양 사의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편리함의 장점이 입소문을 타며 올인원 세탁건조기가 빠르게 성장해서다. e커머스 전문 기업 커넥트웨이브에 따르면 올인원 세탁건조기의 거래액 점유율은 제품 출시 4개월 만에 16.2%를 기록하며 일반 세탁기를 넘어섰다.


삼성전자는 기세를 잇기 위해 올 3월 건조 용량을 늘린 신제품을 먼저 출시했다. LG전자 역시 연내 신제품을 공개해 반격에 나설 계획이다.



'편리함 끝판왕' 세탁건조기 두고 삼성·LG 진검승부
LG전자가 지난해 2월 출시한 올인원 세탁건조기 ‘LG 시그니처(LG SIGNATURE) 세탁건조기’. 사진 제공=LG전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