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 오너 3명 가운데 1명은 자녀에게 기업을 물려주지 않으면 매각하거나 폐업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제3자 승계 및 인수합병(M&A) 지원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최수정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16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기업승계활성화위원회 정책 전환 토론회에서 “중소 제조업의 60세 이상 대표자 비율이 2013년 15.9%에서 2023년 36.8%로 높아지고 있음에도 제도는 여전히 상속·증여 중심의 가족 내 승계에 머물러 있다”며 “가업 승계 지원 대상을 종업원 승계 및 M&A 승계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새로 조직된 기업승계활성화위는 1·2세대 중소기업 경영자와 학계, 연구계, 법률·세무 전문가 등 총 20명으로 구성됐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토론회에서 기업 승계와 관련해 중기 오너를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30.2%는 자녀에게 기업을 승계하지 않을 시 ‘향후 매각 또는 폐업을 고려 중’이라고 응답했다. 답변자의 64.5%는 기업 승계 활성화를 위한 제3자 승계 및 M&A 지원 제도 도입에 찬성했다. 제3자 승계 시 필요한 지원(복수 응답)으로는 세금 완화(70.8%) 외에도 M&A 요건 등 승계 절차 간소화(39.3%), 전문가 컨설팅(25.3%), 승계 자금 지원(18.6%) 등이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