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생산자물가 6개월만에 하락전환…달걀·돼기고기 값은 ↑

공급물가도 7개월 만에 하락 전환

  • 김혜란 기자
  • 2025-05-23 06:00:30
  • 경제동향
생산자물가 6개월만에 하락전환…달걀·돼기고기 값은 ↑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농산물과 수산물 가격이 큰 폭으로 내리면서 생산자물가가 6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4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24(2020=100)로 전월보다 0.1% 떨어졌다. 지난해 10월(-0.1%) 이후 6개월 연속 상승하다가 지난달 하락으로 돌아선 것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농림수산품이 전월보다 1.5% 하락했다.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농산물(-5.8%)과 수산물(-0.7%) 가격이 모두 내린 영향이다. 품목별로는 양파(-15.8%), 오이(-35.1%) 등 채소류와 기타어류(-5.8%) 가격이 큰 폭 하락했다. 반면 축산물은 돼지고기(8.2%)와 달걀(11.4%)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월 대비 4.8% 올랐다.


한은은 "지난달에는 기온과 일조 시간, 강수량 등의 생육 여건이 양호해지면서 출하량이 늘어 농산물 가격이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국내 공급물가지수도 7개월 만에 오름세를 멈추고 하락 전환했다. 4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125.31로 전월 대비 0.6% 하락했다. 2024년 10월부터 여섯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오던 상승세가 7개월 만에 꺾인 것이다.


품목별로는 원재료가 전월 대비 3.6% 하락하며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수입(-4.4%)과 국내 출하(-0.4%)가 모두 내린 영향이다.


중간재는 전월 대비 0.4% 하락했다. 수입(-1.7%)과 국내 출하(-0.2%)가 나란히 줄며 물가 하락을 이끌었다.


최종재도 0.1% 하락했다. 서비스(0.3%)는 소폭 상승했지만, 소비재(-0.4%)와 자본재(-0.4%)가 동반 하락한 영향이 컸다.


한은은 “5월 현재까지 국제유가의 추이를 보면 두바이유 가격은 21일까지 평균이 4월 평균 대비 6% 내외 하락한 상황”이라며 “이런 흐름이 월말까지 지속되면 5월에도 생산자물가나 공급물가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겠으나 불확실성이 있어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