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3월 연립·다세대주택(빌라) 매매 실거래가격지수도 2년 9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하며 전세사기 사태 전인 2022년 7월 수준으로 되돌아왔다.
2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3월 서울의 연립·다세대주택 매매 실거래가격지수는 143.7로 전월보다 2.05% 오르며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월 대비 3월 상승 폭은 2022년 6월(2.30%) 이후 가장 높았다. 실거래가지수는 실제 거래된 가격을 동일 주택형의 이전 거래가와 비교해 지수화한 수치다.
2020~2021년 2년 연속 10%대 상승률을 보인 서울 빌라 실거래가격은 전세사기 사태가 불거진 2022년 2.22% 하락했고, 2023년에는 0.85% 오르는데 그쳤다. 하지만 이후 정부의 보증 정책 등으로 전세사기 문제가 서서히 해결되면서 지난해 실거래가격은 3.44% 상승했고 올해 1~3월 누적 상승률은 3.58%로 지난해 연간 상승률보다 크게 나타났다.
3월 서울 연립·다세대 주택 거래량도 3024건으로 1년 전(2304건)보다 31.3% 증가했다. 서울 빌라 거래량이 3000건을 넘어선 것은 2022년 7월 이후 처음이다. 이는 서울 아파트값 상승으로 가격 부담이 적은 빌라로 시장 수요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또 수도권 시세 7억~8억 원(공시가격 5억 원) 이하 빌라 보유자는 청약 때 무주택자로 인정되는 정책도 빌라 수요를 높인 요인으로 꼽힌다.
서울에 이어 경기도 연립·다세대 실거래가도 1분기에 1.40% 상승했다. 하지만 인천의 1분기 빌라 실거래가격은 2.86% 떨어졌고, 지방 빌라는 2.57%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