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경제 · 금융  >  

올여름도 '금배추' 사태 반복되나…여름배추 생산량 25% '뚝'

◆농경연 ‘농업관측 6월호’
올여름 배추생산 23.6만t
평년비 24.5% 감소 예측

  • 유현욱 기자
  • 2025-06-15 09:47:22
올여름도 '금배추' 사태 반복되나…여름배추 생산량 25% '뚝'
서울 시내 한 마트에 국내산 김치가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

올해 여름 배추 생산량 전망이 평년보다 25% 급감하면서 여름철 '금(金)배추' 사태 되풀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정부는 이에 대비하기 위해 배추 비축량을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1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은 ‘농업관측 6월호’에서 올해 여름 배추 생산량이 23만 6000톤(t)으로 평년보다 24.5%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공급난을 겪은 지난 여름보다는 6.0% 많은 수준이다.


농경연은 재배(의향) 면적과 단수(단위 생산량)를 반영해 생산량 전망치를 추산한다. 올해 여름엔 배추 재배 면적 자체가 3418㏊(헥타르·1㏊는 1만㎡)로 평년보다 23.9%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농경연은 “연작 피해, 선출 발생으로 인한 휴경, 기온 상승에 의한 재배 어려움 등으로 재배 면적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며 “정식기(작물을 밭에 심는 시기) 배추 시세가 약세인 것도 재배 면적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배추 생산량이 이렇게 감소하면 가격이 급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에도 고온의 날씨가 이례적으로 길어지고 가뭄이 겹치며 여름 배추 생육이 부진해 생산량이 줄자 한때 전년의 두 배 수준으로 가격이 치솟았었다.


정부는 올해 이런 사태가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2만 3000톤을 비축할 계획이다. 이는 봄배추와 여름 배추 수매 비축분, 농협 출하 조절 시설 저장분을 합친 양이다.


농식품부는 비축한 배추를 수급 불안기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석 성수기에 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다. 또 기상 재해와 병해충 등 피해가 발생하면 배추를 신속하게 다시 심을 수 있도록 예비묘를 지난해보다 25% 많은 250만 주 확보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