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에 보낼 특사로 박용만 전 두산그룹 회장과 더불어민주당 한준호 최고위원 및 김우영 의원을 확정했다. 그동안 미국 특사로 알려진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언주 최고위원은 최종 명단에서 제외됐다. 김 전 비대위원장 내정에 일부 여권의 불편함이 관측됐고 이 최고위원의 문자가 언론에 노출되자 잡음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판단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이 기업인 출신의 미국통 박용만 전 회장으로 승부수를 띄운 셈이다.
17일 외교당국과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미국 특사의 단장은 박 전 회장이 맡는다. 한 최고위원과 김 의원 등 이들 특사는 이르면 다음주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미국 특사의 최우선 과제는 미국이 상호관세 발효 시점을 8월 1일로 연기한 상황에서 보름 남짓 한 골든타임을 살려 관세협상의 단초를 마련하는 일이다.
정부는 앞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등 안보·통상 투톱을 미국에 급파한 뒤 비관세장벽을 포함해 통상·구매·투자·안보 등의 포괄적 패키지 딜을 물밑에서 조율중이다.
특히 박 전 회장이 현역시절부터 미국 경영계와 교류하며 두터운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고, 거시경제 석학들과도 교분이 두터워 미국 조야에 한국 입장을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박 전 회장은 이 대통령이 경기도지사 시절, 기업규제 개선과 지원을 위한 협업을 비롯해 20대 대선 당시엔 ‘만문명답'(박용만이 묻고 이재명이 답하다)이라는 대담을 진행했다”며 “그 만큼 이 대통령의 의중을 미국에 전달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전했다.
아울러 한 최고위원 역시 20대 대선 당시 후보 수행실장으로 이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최측근 참모로 꼽힌다. 특히 지난해 전당대회에서 당시 이재명 당대표 후보가 한 최고위원을 ‘픽’할 만큼 이 대통령과의 가까운 관계를 증명한 바 있다. 대통령실은 김 의원과 함께 한 최고위원이 이 대통령의 메신저로서의 역할에 기대감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정부로서는 이들 특사를 통해 관세 협상의 물꼬를 트고, 이후 한미 정상회담 일정 등을 조율하는 등 ‘원샷 딜’을 도모할 가능성이 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