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사회  >  

연대 의대생 복귀에 내홍…보직교수 집단 사의 표명

사전복귀 학생과 형평성에 문제
일부 "스승 아냐" 비판 목소리도
교육부도 골머리 "특혜없다" 입장서
"학교별 여건 달라" 한발 물러서

  • 채민석 기자,정다은 기자
  • 2025-07-17 17:53:35
연대 의대생 복귀에 내홍…보직교수 집단 사의 표명
전국 40개 의대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가 17일 긴급 회의를 열고 복귀한 의대생들을 위한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강의실에 가운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의대생들이 최근 전원 복귀를 선언하며 의료 정상화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가운데 일부 대학 의대 보직 교수들이 1학기 복귀한 의대생들과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며 집단 사퇴 의사를 밝히는 등 의대생 복귀를 놓고 학내에서 내홍이 심화하고 있다.


17일 교육계에 따르면 연세대 의대에서 최근 주요 보직 교수들이 의대 학과장에게 단체로 보직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1학기에 이미 복귀해 수업을 들은 학생과 2학기에 새로이 복귀할 학생을 차별 없이 교육하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형평성 문제뿐 아니라 교육 질 저하도 사의 표명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교수들은 오는 2학기에 학생들을 급하게 복귀시켜 2학기 수업과 지난 1학기 수업을 동시에 듣게 할 경우 교육과정이 부실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연세대뿐 아니라 일부 다른 의대에서도 의대생 복귀 방식을 두고 몇몇 교수들이 보직 사직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사전에 복귀한 학생들 사이에서도 ‘2학기 복귀 학생과 같은 교실에서 같이 수업을 듣는 것은 불공평하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반대 목소리도 내부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의료 관련 일부 커뮤니티에는 “학생의 복귀를 막으려고 집단 사직에 나선 교수들은 스승이 아니다”라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전원 복귀 선언을 한 학생을 학교에서 받지 않으면 의료 정상화는 불가능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교육부도 의대생 복귀 방식을 두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당초 학사 유연화나 수련 시간 단축 등 특혜는 절대 없을 것이라고 했던 교육부는 최근 “종합적 검토를 해야 하기 때문에 딱 잘라서 한다, 안 한다고 말하기 어렵다”며 “의대생들의 복귀 시기나 방법 등은 학교별로 고려해야 할 여건들이 다르다”고 한 발 물러섰다.


한편 이날 전국 40개 의대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의대생들 복귀에 따른 후속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온라인 줌 회의 형태로 긴급회의를 진행하고 복귀 시기와 방법 등을 논의했다.


15일에는 전국 40곳 의대 학장단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온라인 회의를 열고 의대 교육 방안과 학사 정상화 원칙 등을 논의했다. KAMC는 ‘1학기 유급’ 원칙은 유지하면서 2학기 수업에 복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