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국제  >  기획·연재

폴 댄스 즐기고 밧줄 오르고…틱톡에 '군복 입은 여자' 영상 쏟아지자 생긴 일

틱톡, 여군, 중국, 안보

폴 댄스 즐기고 밧줄 오르고…틱톡에 '군복 입은 여자' 영상 쏟아지자 생긴 일
틱톡 캡처. 연합뉴스

미국 여군들이 동영상 플랫폼 틱톡을 통해 활발히 일상을 공유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당장 미군이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 “국가 안보를 해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지만 일각에서는 모병 효과도 톡톡히 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틱톡을 하는 미 여군들이 팔로워 수천 명과 조회수 수백만 회를 기록하면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는 신병 확보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실제 틱톡 플랫폼상에서 '#밀톡'(#MilTok)이라는 해시태그를 검색하면 다수의 군대 관련 콘텐츠가 등장한다. 이중에는 자신의 평소 피부관리 일상을 보여주는 중위, 어린이집으로 뛰어가는 해군 장교, 비행 중 브이로그를 찍은 공군 조종사, 동료 여군들과 춤을 추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등 미 여군들의 일상을 쉽게 접할 수 있다.


그중에는 한국계 여군의 모습도 포착된다. 운동 삼아 폴 댄스를 즐기는 가벼운 일상부터 밧줄 오르기 등 고강도 훈련 장면까지 공유하고 있다. 이들 여군의 모습은 남성성을 강조하는 기존 군대의 분위기와 사뭇 다르다. 매우 여성스럽고 발랄한 모습을 영상으로 전하며 눈길을 끌고 있다.



폴 댄스 즐기고 밧줄 오르고…틱톡에 '군복 입은 여자' 영상 쏟아지자 생긴 일
틱톡 ‘MilTok’ 해시태그 캡처

이처럼 여군들이 자신의 일상을 틱톡에 공유하는 최근 현상은 실제로 신병 확보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지난 2005년 이후 미국 남자 군인의 수는 10% 감소했지만, 여성 군인의 수는 같은 기간 12% 늘었다.


다만 여전히 여군은 남성 위주의 군대 안에서 성차별과 무시를 받는 형편이다. 지난 2023년 미 국방부 조사에 따르면 현역 여군의 13%가 성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남자 군인 중에는 성차별을 받고 있다는 응답이 1.4%에 그쳤다.


여군 중 일부는 자신이 무시당하거나 고립감을 느꼈을 때 인정과 지지를 받으려 틱톡으로 눈을 돌렸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전했다. 틱톡 안에서 여군들이 여군복이나 복장 규정과 같은, 남자 군인들은 체감하지 못하는 문제에 관해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군들 사이의 틱톡 열풍을 우려하는 시선도 만만치 않다. 미 국방부와 미군 내부에서는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여군의 틱톡 사용을 경계한다. 중국 바이트댄스가 모기업인 틱톡은 개인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하는 등 국가 안보를 위협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현재 미국에서 차단 위기에 놓여있다.


폴 댄스 즐기고 밧줄 오르고…'군복입은 여자' 영상 쏟아지는 틱톡
중국 견제하는 美, 그 사이 뜨는 켄타우로스 [AI PRISM x D•LOG]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