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7 대출 규제 이후 서울 ‘갭투자’ 의심 주택구매 건수가 8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인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이 24일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취득자금 조달 및 입주계획서에 임대보증금을 승계받고, 금융기관 대출을 끼고 있으며, 입주계획을 ‘임대’라고 써낸 서울지역 주택구매 사례는 179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6월(1369건)과 비교하면 86.9% 감소한 수치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구의 지난달 갭투자 의심 주택구매 건수는 0건이었다. 서초구는 6월 18건에서 지난달 4건으로 줄었고, 송파구도 6월 18건에서 지난달 4건으로 감소했다.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 역시 6월 397건에서 지난달 36건으로 90.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앞서 6·27 대출 규제를 통해 수도권에서 주택담보대출 최대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고, 다주택자의 추가 주택 구입을 위한 주담대를 전면 금지했다. 또 주담대를 받아 주택을 구입한 경우 6개월 내 전입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