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국제  >  기획·연재

"엄지손가락이 길수록 '이것'도 크다"…英 연구팀 '깜짝' 결과

  • 이인애 기자
  • 2025-08-30 07:28:24
  • 기획·연재

엄지손가락, 뇌 크기, 영장류

'엄지손가락이 길수록 '이것'도 크다'…英 연구팀 '깜짝' 결과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이미지투데이

엄지손가락이 길수록 뇌 크기도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달 26일(현지시간) 영국 BBC에 따르면 영국 레딩대와 더럼대 공동 연구팀이 “엄지손가락 길이가 길수록 뇌 크기가 크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고대 인류 5종을 포함해 침팬지·고릴라·오랑우탄·여우원숭이·마모셋·비비원숭이 등 총 94종의 영장류를 조사했다. 엄지손가락 뼈와 다른 손가락 뼈 길이를 비교해 엄지가 얼마나 긴지 확인하는 한편 뇌 무게와 두개강 용적(두개골 속 공간)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엄지가 상대적으로 긴 종일수록 뇌가 더 크게 발달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특히 뇌 전체보다는 운동·감각 정보를 처리하고 손동작을 정교하게 조절하는 ‘신피질’과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작은 물체를 집거나 도구를 다루는 정밀한 손동작이 뇌 발달을 자극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인간을 포함한 호미닌은 다른 유인원보다 유독 긴 엄지를 지녔다는 특징도 드러났다. 이는 도구 제작과 정밀한 잡기 능력에 직결되며, 인간 진화 과정에서 뇌 크기 확대와 함께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긴 엄지는 작은 물체를 더 잘 잡고 조작하는 능력을 제공해 생존에 유리했을 것”이라며 “이 같은 조작 능력이 뇌 크기와 공동 진화해 인간과 영장류의 인지·행동적 특징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다만 엄지 길이와 뇌 크기만으로 영장류의 손재주나 뇌 진화를 전부 설명할 수는 없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예컨대 초기 인류 종인 ‘아우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Au sediba)’는 뇌 크기에 비해 지나치게 긴 엄지를 가졌는데, 이는 정밀한 도구 제작 때문이 아니라 나무 생활 방식과 관련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커버드콜ETF 30% 수익률의 비밀 대공개 [AI PRISM x D•LOG]
팁스 기업 3000명 감원, 벤처투자 연대책임 폐지 움직임 [AI PRISM x D•LOG]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