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부동산  >  아파트·주택

전자투표 하니 재건축 속도 쑥↑…목동 14단지 동의율 3일만에 40%[집슐랭]

비용 절반 이상 뚝…정부도 적극 독려

  • 천민아 기자
  • 2025-09-02 07:00:19
  • 아파트·주택
전자투표 하니 재건축 속도 쑥↑…목동 14단지 동의율 3일만에 40%[집슐랭]

약 3100가구 규모의 목동 14단지 재건축 추진준비위원회가 신탁업자 지정동의서를 전자서비스로 진행한 결과 단 3일 만에 단 3일 만에 대상자 4300명(공동명의 등) 중 1500명이 전자서명을 했다. 이 같은 대단지에서 전자 투표를 도입한 건 이번이 처음인데 빠른 속도로 동의가 진행되고 있어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재개발·재건축 조합에 총회와 투표를 온라인으로 대체하는 새 바람이 불고 있다. 소유자 명부 작성부터 서명 동의, 전자등기, 투표, 총회 등을 모두 스마트폰 등으로 진행할 수 있어 속도가 매우 빠른데다 비용도 저렴하기 때문이다. 주택 공급이 빨라질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서울시와 국토부 등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나서는 분위기다.


이상용 목동 14단지 조합장은 "앞서 오프라인으로 진행한 정비 구역 지정 동의는 의결 요건인 투표율 70%를 달성하는 3개월이 걸렸는데, 그에 비하면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됐다"고 말했다.


목동14단지뿐 아니라 서울 여러 조합과 추진위원회에서 전자투표와 전자서명 동의서, 온라인 총회 서비스를 도입하는 추세다. 경기 용인 기흥3구역은 최근 재건축 추진 위원회 동의 여부를 전자 투표로 진행해 2주 만에 160명 중 76.3%의 동의를 얻었다. 서초구 신동아 아파트와 압구정 5구역도 최근 전자투표와 온라인총회를 도입했고 분당 상록 우성 등도 전자서명동의서를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전자화 바람이 일고 있는 이유는 빠르고 정확한 데다 비용이 기존 방식보다 저렴하기 때문이다. 조합에서 조합원 동의를 확보하기 위해 통상 수백 명에 달하는 현장 직원이 일일이 가구를 방문해 지장과 신분증 사본, 가족관계증명서 등을 받아야만 했다. 하지만 전자투표는 인력을 고용하지 않고도 빠르게 전자 서명과 신분 확인을 할 수 있고 증빙 서류도 정부 시스템을 통해 제출할 수 있다. 인건비도 줄이고 본인 확인과 위·변조 방지 등 투명성 논란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셈이다. 곽세병 레디포스트 대표는 “전자 방식을 도입하면 정비사업이 최대 1년 단축되고, 동의서 징구 예상 비용도 절반 넘게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60~70대 고령층도 쉽게 사용 가능한 점도 강점이다. 전자투표와 서면투표를 병행했을 때 해당 연령대에서 전자투표가 50~60%로 서면투표가 10%보다 더 높았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가구 당 대표자 1인이 투표에 참여하는 만큼 중장년층 부부도 온라인 투표에 대한 참여도도 높다"고 전했다다. 정부도 조합원 분담금도 낮추고, 주택 공급이 빨라질 수 있는 만큼 도시정비 의결 전자화를 적극 독려 중이다. 현재 규제 샌드박스가 진행 중인데, 올해 12월부터는 전자 서명 동의와 온라인 총회를 정식으로 법령에 반영될 전망이다.



전자투표 하니 재건축 속도 쑥↑…목동 14단지 동의율 3일만에 40%[집슐랭]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