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대미 투자 금액 3500억 달러(약 490조 원)는 선불이라며 현금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압박하고 나섰다. 미 행정부는 한발 더 나아가 한미 양국이 무역 협상에서 합의한 3500억 달러보다 많은 금액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 달 1일부터는 의약품과 대형 트럭, 주방 및 욕실 가구 등에 최대 10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 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최근 한국 협상단과의 대화에서 대미 투자액을 약간 더 증액해 일본(5500억 달러)에 근접하도록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러트닉 장관은 “일본이 서명한 대미 투자 합의와 유사한 조건들을 한국이 수용해야 한다”고 압박하면서 “대출보다는 현금으로 더 많은 자금을 지원받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도 백악관에서 “우리는 무역 협상에서 잘하고 있다. 일본은 5500억 달러, 한국은 3500억 달러”라며 “이것은 선불(up front)로 받는 금액”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대미 투자 펀드가 대출이나 보증보다는 현금으로 구성돼야 한다는 요구로 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 등 총 5개 품목에 관세를 물리겠다고도 밝혔다. 그는 트루스소셜에 “기업이 미국에 의약품 제조 공장을 건설하지 않고 있다면 10월 1일부터 모든 브랜드 의약품 또는 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적었다. 또 외국산 대형 트럭에는 25%, 주방 수납장과 욕실 세면대 및 관련 제품에는 50%, 소파 등에는 30%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예고했다. 자동차, 철강 및 알루미늄과 같이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국 반도체 기업이 외국에서 반도체를 수입하는 규모만큼 자국 내에서 생산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WSJ는 반도체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트럼프 행정부의 대책이라며 생산량이 부족할 경우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살펴보고 있다고 전했다. 한미 간 관세 협상 논의가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미국이 관세 적용 품목을 넓히면서 우리 산업계가 전방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