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대 자동차 부품사 보쉬가 비용 절감을 위해 1만 3000명의 추가 감원에 나선다. 고금리·고물가로 소비자들의 신차 구매력이 크게 위축된 데다 시장 경쟁이 심화하면서 글로벌 자동차 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25일(현지 시간) 보쉬는 앞으로 5년간 모빌리티 부문을 중심으로 총 1만 3000명을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최대 1만 명 감축 방침을 밝혔고 다시 한번 구조조정 카드를 꺼낸 것이다. 이번 조치는 전 세계 보쉬 임직원(41만 8000명) 중 약 3%에 해당한다.
보쉬는 자동차 부문에서 발생하는 연 25억 유로(약 4조 원) 규모의 초과 비용을 해소하기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는 입장이다. 회사 측은 “모빌리티 부문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비용을 지속적으로 줄여야 한다”며 “고통스럽지만 피할 수 없는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독일 자동차 업계는 잇따른 구조조정 소식으로 충격에 빠진 모습이다. 지난해 유럽 최대 완성차 기업 폭스바겐은 창사 이래 처음으로 독일 내 공장 폐쇄와 대규모 인력 감축 방침을 발표하며 위기의 서막을 알렸다. 이어 자동차 부품사 셰플러, ZF프리드리히스하펜이 구조조정 계획을 내놓았고 지난달에는 상용차 업체 다임러트럭이 5000명 규모의 정리해고를 예고했다.
중국 업체들이 급성장하며 경쟁이 치열해졌고 미국 정부의 고율 관세정책까지 겹치면서 업계의 부담이 가중됐다. 일본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닛산은 악화되는 경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 공장을 17곳에서 10곳으로 줄이고 인력 2만 명 감원을 추진하고 있다. 구조조정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요코하마 본사 건물 매각에도 나섰다. 혼다의 경우 2026회계연도 1분기(2025년 4~6월) 영업이익이 2441억 엔(약 2조 3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49.6%나 급감했다.
중국 자동차 업계도 위태롭다는 평가다. 정부 보조금에 힘입어 저가 물량을 대량으로 쏟아냈던 중국 업체들은 과도한 출혈경쟁으로 수익성과 재무 건전성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상장 자동차 업체의 30% 이상은 유동부채(1년 내 상환해야 할 부채)가 유동자산(1년 내 현금화 가능한 자산)을 초과한 상태다. 적절한 대응이 없을 시 유동성 위기에 내몰리는 기업이 속출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