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단독] 석화 연내 자구안 내야…1조 정책펀드 추가 지원

■금융당국, 대주주에 최후통첩
산업구조 혁신 금융권 지원 협약
정책보증 지원 가능성도 열어둬
진척 없을땐 강제 구조조정 예고

  • 심우일 기자,이승배 기자
  • 2025-09-30 17:43:11
  • 금융정책
[단독] 석화 연내 자구안 내야…1조 정책펀드 추가 지원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30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산업 구조 혁신 지원 금융권 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연말 전까지 실질적인 자구안을 제출하는 석유화학 업체를 대상으로 1조 원 규모의 정책펀드 지원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기업에는 기존 대출 만기 연장과 이자 감면 등도 제공된다. 다만 금융 당국이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며 최후통첩을 날린 만큼 구조조정을 하지 않고 버티는 기업에는 자금 회수 같은 강제 수단이 동원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과 17개 은행·정책금융기관은 3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석유화학 분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산업 구조 혁신 지원 금융권 협약식’을 체결했다.


금융 당국은 실효성 있는 구조조정에 나선 석유화학 기업에 1조 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 6호’ 투자를 지원할 수 있다는 방침이다.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생산 시설 같은 자산을 매입한 후 임대(세일즈앤드리스백)하는 방식으로 기업 구조조정을 도울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정책 보증 지원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이날 금융위와 은행들도 기업활력법에 따라 사업 재편 승인을 받은 기업에 △대출 만기 연장 △이자 상환 유예 △추가 담보 미취득 △필요시 추가 자금 지원 등을 하기로 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채권단 자율협의회 운영 협약안은 대상 기업이 중장기 차입금 감축 계획을 제시해야 한다는 조건으로 금융 지원이 가능하다고 명시했다. 자율협약 동의 조건도 워크아웃과 동일한 채권액 기준 4분의 3 이상이다.


하지만 이 같은 지원은 석유화학 업체들의 뼈를 깎는 자구책이 전제 조건이라는 게 당국의 일관된 입장이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날 “아직 산업단지별·기업별 구체적 감축 계획과 자구 노력의 그림이 보이지 않는다”며 “지금이 마지막 기회이며 석유화학 업계의 자율적인 사업 재편이 때를 놓치면 채권금융기관의 역할도 관찰자·조력자로만 머무르기 힘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별다른 상황 진척이 없으면 은행권을 중심으로 강제 구조조정에 돌입하겠다는 뜻이다. ▷기사 2면


[단독] 석화 연내 자구안 내야…1조 정책펀드 추가 지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