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국제  >  기업

현대차·엔비디아 '피지컬AI' 협력강화…30억弗 투자

5만장 블랙웰 GPU로 AI 모델 개발  
피지컬 AI 디지털센터 등 국내 설립
정부와 협력…피지컬 AI 생태계 조성
두산도 엔비디아와 전략적 협력 맺어  

  • 유민환 기자
  • 2025-10-31 18:14:01
  • 기업
현대차·엔비디아 '피지컬AI' 협력강화…30억弗 투자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 보스턴다이내믹스가 공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 사진 제공=보스턴다이내믹스

현대자동차그룹과 엔비디아가 국내 피지컬 인공지능(AI) 분야에 약 30억 달러(약 4조3000억 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현대차(005380)는 엔비디아가 공급하는 5만 장의 차세대 AI 칩 ‘블랙웰’을 활용해 피지컬 AI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그룹 차원에서 미래 성장 동력으로 키우고 있는 로봇 사업과 자율주행차 개발에 날개를 달게 됐다는 평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현대차그룹·엔비디아는 31일 경북 경주시에서 열리고 있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현장에서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피지컬 AI는 인간처럼 물리적 환경과 직접 상호작용하며 인식·판단·행동하는 지능형 시스템을 이른다. 휴머노이드는 피지컬 AI 기술이 적용되는 대표적 플랫폼이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한국의 풍부한 제조 데이터와 엔비디아의 최신 AI 인프라가 만나 산업 전반의 제조 AI 전환(AX) 혁신을 가속화하는 윈윈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엔비디아 '피지컬AI' 협력강화…30억弗 투자


현대차그룹과 엔비디아는 30억 달러 투자를 통해 모빌리티 솔루션, 차세대 스마트팩토리, 온디바이스 반도체 혁신을 위한 AI 역량을 함께 높이고 미래 경쟁력 강화에 나서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그룹은 5만 장의 엔비디아 블랙웰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활용해 통합 AI 모델 개발·검증·실증을 추진한다. 블랙웰 기반의 새로운 AI 팩토리를 도입해 차량 내 AI, 자율주행차, 로보틱스 분야 혁신을 위한 협력도 강화한다. 젠슨 황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는 “세계 최고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 중 하나인 현대차그룹과 지능형 자동차 및 공장을 구현해 향후 수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모빌리티 산업을 함께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엔비디아 '피지컬AI' 협력강화…30억弗 투자
보스턴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 ‘스팟’이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에서 생산 공정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차

특히 현대차그룹은 3차원(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엔비디아 옴니버스 엔터프라이즈’ 플랫폼을 활용해 강력한 공장 디지털 트윈을 구축할 예정이다. 디지털 트윈은 공장 환경을 가상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확인하고 다룰 수 있도록 한 3D 모델이다.


현대차는 이를 통해 정밀한 디지털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로봇 통합을 가속화하고 완전자율형·소프트웨어 중심 공장으로의 전환을 앞당긴다. 또 실제 생산라인에 로봇을 배치하기 전에 가상 환경에서 작업 할당, 동작 계획, 인체 공학적 안전성 등을 검증할 수 있어 로봇 통합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양 사는 한국 정부의 국가 피지컬 AI 클러스터 구축 계획을 지원해 피지컬 AI 생태계 발전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양 사는 엔비디아 AI 기술 센터, 현대차그룹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 피지컬 AI 데이터센터 등을 국내에 설립한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 간 활발한 교류가 이뤄지고 국내 차세대 피지컬 AI 인재 양성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양 사는 첨단기술 개발을 넘어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공동 구축해 혁신을 가속화하고 인재 육성과 글로벌 AI 리더십 확보까지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했다.


두산그룹 역시 이날 엔비디아와 피지컬 AI 강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두산은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건설기계, 발전 기기, 로봇 등 주력 사업의 피지컬 AI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엔비디아의 AI 인프라와 두산의 사업 영역이 보유한 데이터를 결합해 현장 맞춤형 기초 모델을 확보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