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국제  >  인물·화제

"전청조도 이 나라 가면 완벽한 남자?"…성별 스스로 정하게 했더니 벌어진 일

  • 조수연 기자
  • 2025-11-01 05:30:19
  • 인물·화제

독일, 성별, 성별 선택, 성별자기결정법

'전청조도 이 나라 가면 완벽한 남자?'…성별 스스로 정하게 했더니 벌어진 일
사진은 해당 기사와 무관함. 클립아트코리아

독일 정부가 지난해 법원 허가 없이 개인이 원하는 성별을 스스로 선택·등록할 수 있게 한 ‘성별자기결정법’을 시행한 뒤, 9개월 만에 2만2000명이 성별을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29일(현지시간) 독일 매체 슈테른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7월까지 성별을 바꿔 등록한 인원은 2만2000명을 넘어섰다. 첫 두 달 동안은 남성에서 여성으로 전환한 비율이 33%, 여성에서 남성으로 바꾼 경우가 45%였다.


이 법은 14세 이상이면 누구나 법원 허가 없이 행정상 성별과 이름을 스스로 바꿀 수 있도록 했다. 미성년자는 법정 대리인 동의만 있으면 가능하다. 성별은 ‘남성·여성·다양·무기재’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성전환 수술이나 정신과 진단, 법원 판단 절차도 전부 폐지됐다. 독일 정부는 기존 절차가 ‘불필요한 인권 침해’라며 자기결정권 강화를 이유로 법안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시행 후 예상치 못한 부작용도 있었다. 대표적 사례로, 성소수자 혐오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극우 인사 마를라스베냐 리비히가 교도소 수감 전 성별을 여성으로 바꿔 등록하자, "여성교도소에 수감해도 되느냐”는 논란이 일었다. 제도의 허점을 노린 사례로 지적된 것이다.


이 법은 진보 성향 ‘신호등’ 연립정부 당시 사회민주당(SPD)과 녹색당 주도로 도입됐다.


한편 기독민주당(CDU)은 올해 초 총선에서 이 제도를 바꾸겠다고 공약했다. 그러나 올해 5월 SPD와 연정을 꾸리면서 일단 내년 7월까지 유지하고 아동·청소년·여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로 입장을 완화했다.


이재용·정의선·젠슨황 불러모은 깐부치킨, 기업가치는 얼마[이충희의 쓰리포인트]
젠슨황 "'HBM97'까지도 삼성·SK와 협력…장기 파트너될 것"
AI팩토리로 삼성·SK 칩 공정 업그레이드…"HBM4 공급 확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