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HOME  >  산업  >  기업

삼성전자 3분기 D램 매출 1위 탈환…HBM 출하량 85% 급증

점유율 삼성 34.8%·SK 34.4%
범용 메모리값 급등, 실적 개선

삼성전자 3분기 D램 매출 1위 탈환…HBM 출하량 85% 급증
한 관람객이 삼성전자 부스에서 HBM3E와 HBM4를 둘러보고 있다. 뉴스1

삼성전자(005930)가 올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매출 기준 1위 자리를 되찾았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출하량 증가와 범용 제품 가격 상승이 맞물리며 사상 최대 매출을 견인한 덕분이다.


19일 시장조사기관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분기 D램 매출은 전 분기보다 29.6% 늘어난 139억 4200만 달러(약 20조 4000억 원)로 집계됐다. 시장 점유율은 34.8%를 기록하며 선두 자리에 복귀했다.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 HBM 시장에서의 일시적 부진으로 1위 자리를 내줬다. 하반기 들어 사업 회복세를 보이며 정상 궤도에 진입했다.


SK하이닉스(000660)는 같은 기간 137억 9000만 달러(약 20조 2000억 원) 매출을 올리며 점유율 34.4%로 2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점유율 격차는 0.4%포인트에 불과해 치열한 선두 다툼이 이어지고 있다. 3위 마이크론은 매출 89억 8400만 달러(약 13조 1600억 원)로 점유율 22.4%를 나타냈다.


CFM은 삼성전자 실적 반등 요인으로 HBM 공급 확대와 범용 D램 가격 강세를 꼽았다. 삼성전자 3분기 HBM 비트(bit) 단위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85% 급증했다. 5세대인 HBM3E의 엔비디아 납품이 시작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AI 데이터센터발 메모리 수요 급증은 PC와 스마트폰 등 일반 소비자용 IT 기기 D램 공급 부족을 야기해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


전체 메모리 시장 규모도 집계 이래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 총매출은 400억 3700만 달러(약 58조 6000억 원)로 전 분기 대비 24.7% 성장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54% 커진 규모다. 낸드플래시 시장 역시 전 분기보다 16.8% 증가한 184억 2200만 달러(약 26조 9000억 원)를 기록했다.


낸드 시장에서도 삼성전자는 독주 체제를 굳건히 했다. 삼성전자는 낸드 매출 53억 6600만 달러(약 7조 8000억 원)로 점유율 29.1%를 차지하며 1위를 지켰다. 이어 SK하이닉스 19.2%와 키옥시아 16.5% 그리고 웨스턴디지털 12.5%와 마이크론 12.2% 순으로 나타났다.


메모리 시장 호황은 4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CFM은 모든 응용 분야에서 메모리 공급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공급업체 재고 수준도 낮아 가격 강세가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메모리 시장 규모는 4분기에 다시 한번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전망이다.



삼성전자 3분기 D램 매출 1위 탈환…HBM 출하량 85% 급증
차이나플래시마켓 2025년 3분기 D램 시장 조사 자료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