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北 주민 절반은 영양실조…"배설물 처리도 문제"[북한은 지금]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 "만성적 식량불안"
영양실조·혹한기 노출 겹쳐 결핵 증가추세도
재래식 화장실 등 '비위생 시설' 탓 보건 우려

  • 유주희 기자
  • 2025-03-19 06:35:22
  • 통일·외교·안보
北 주민 절반은 영양실조…'배설물 처리도 문제'[북한은 지금]
경기도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일대. 연합뉴스

북한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영양실조에 걸린 것으로 추정됐다. 만성적 식량 불안, 백신 미접종 등으로 결핵도 증가 추세다.


18일(현지시간) 엘리자베스 살몬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최근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영양실조 유병률은 2020년부터 3년간 평균 45.5%를 기록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등이 파악한 자료가 근거다. 보고서는 같은 기간 1180만명이 영양실조에 걸린 것으로 추정했다. 그동안 북한이 식량 증산에 공을 들여왔음에도 노후한 생산 인프라와 열악한 기술, 투자 부족,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만성적인 식량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북한이 장마당 등 민간의 상업활동을 제한하고 쌀·옥수수 등 필수품 유통을 국가 독점 통제로 다시 전환하면서 식량난이 가중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보건·위생 여건도 문제다. 북한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목한 내성 결핵 고부담 국가 30개국에 포함된다. 보고서는 "영양실조와 혹한기 노출로 결핵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고 밝혔다. 그나마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에는 북한의 국가 예방접종률이 96%를 넘었지만 2021년 중반 42% 이하로 떨어진 후 2022년 들어서는 결핵 등 주요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받은 어린이가 한 명도 없다는 설명이다. 북한은 지난해 9월 들어서야 유엔아동기금(유니세프)의 지원을 받아 어린이 80만여명과 임산부 12만명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했다.


이밖에 보고서는 유엔 자료를 인용, 배설물이 비위생적인 시설에서 처리되는 북한 가정이 전체의 52%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비위생 시설은 재래식 화장실을 쓰거나 개선된 시설이더라도 제 기능을 못해 배설물 처리가 안전하지 않은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이는 설사를 유발하는 등 공중보건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北 주민 절반은 영양실조…'배설물 처리도 문제'[북한은 지금]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ad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화제집중]

ad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